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한성기 지역묘제의 다양성과 백제의 사회통합 방식 연구 - 우호적 합병의 요인과 사례를 중심으로

이용수 609

영문명
A Study on the Diversity of Local Tombs in the Hanseong Period and Baekje’s Social Integration Policy: Focusing on Factors and Cases of Friendly Takeover
발행기관
한국고고학회
저자명
이성준(Lee, Sungjoon)
간행물 정보
『한국고고학보』제122집, 93~120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3.31
6,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글은 백제가 추진했던 사회통합의 여러 방식 중 고고학적으로 추론 가능한 우호적 합병의 요인 및 사례에 대한 것이다. 그동안 한성기 백제의 지배력 강화 방식에 대한 연구는 한성양식 토기복합체, 위신재, 횡혈식석실묘 등의 시공간적 분포를 통해 중앙과 지방의 역학관계를 설정하거나, 지배 對 피지배의 구도를 입증하려는 시도가 주류였다. 그러나 최근 도식화할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에 여러 변수가 발생하면서, 백제의 영향력 확대 방식을 합리적으로 해석하기 위한 대안의 필요성이 부각되었다. 국가체제의 안정화 단계에서 지방세력은 궁극적으로 지배구조에 편입시켜야 할 개혁의 대상이었지만, 그들의 물질문화에는 이전 세대의 지역전통과 고유역량이 여전히 의미 있는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이런 측면에서 한성기의 다양한 지역묘제는 국가권력이 추진한 사회통합의 방식과 추이를 담고 있는 자료가 된다. 오산 수청동, 화성 요리, 용인 마북동, 서산 부장리 등 원삼국시대의 최상위 묘제가 한성기 후반까지 존립한 곳은 새로운 체제의 확산이 가속화된 단계에도 기존의 정체성과 역량이 계승된 지역이다. 이 경우에 적용된 통합의 방식은 지배 대 피지배의 구도를 강화하여 세력을 교체하거나 이식하는 것보다는 마한연맹체의 동류의식이 와해되거나 훼손되지 않는 방향에 중점을 둔 것으로 판단된다. 천안 두정동과 서천 봉선리, 청주와 연기 일대의 고분군은 원삼국시대의 최상위 묘제가 한성기 후반의 새로운 최상위 묘제로 전환되면서, 묘역도 유지된 곳이다. 이 경우는 지방세력의 존립이 위태롭지 않도록 상황을 조성해 가면서 점진적으로 통합이 진행되었다는 것을 시사한다. 따라서 국가적 차원의 혁신을 추진하기 위한 중앙과 지방과의 관계설정 어젠다는 제왕적 리더십의 확립을 위한 지배구조의 개편보다 연맹체적 전통에 근간을 둔 파트너십의 강화였을 가능성이 크다. 지역과의 협력을 공고히 하여 체제의 안정화를 도모한 이 시기 백제의 통합 리더십은 역사적으로 근초고왕 집권 후반기 성과들의 원동력이 되었다.

영문 초록

This research addresses the factors and cases of friendly takeover that can be inferred archaeologically among the various policies of social integration that Baekje promoted. Previous studies have focused on establishing or proving the dynamic relationship between the center and local groups through the spatio-temporal distribution of prestige goods or chamber tombs, etc.. However, as a number of other variables have come to be identified, the need for alternative ways to rationally interpret Baekje’s policy of expanding its influence has arisen. In this respect, the various regional tombs of the Hanseong period can be regarded as data that contain the types and trends of social integration promoted by the state power. As a result, it could be proposed that the agenda for establishing relations between the center and local groups for national innovation was more likely to have been the strengthening of partnerships based on the tradition of the federation rather than the re-organization of the governance structure to establish imperial leadership.

목차

Ⅰ. 머리말
Ⅱ. 한성기 지역묘제의 특징과 주요 쟁점
Ⅲ. 사회통합의 방식과 추이
Ⅳ.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성준(Lee, Sungjoon). (2022).한성기 지역묘제의 다양성과 백제의 사회통합 방식 연구 - 우호적 합병의 요인과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고고학보, (), 93-120

MLA

이성준(Lee, Sungjoon). "한성기 지역묘제의 다양성과 백제의 사회통합 방식 연구 - 우호적 합병의 요인과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고고학보, (2022): 93-12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