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전국 유아교육기관 숲유치원 운영현황과 실태분석을 통한 한국형 숲유치원 발전 방안에 관한 연구

이용수 39

영문명
A study on a developmental plan for korean-style forest kindergarten by analyzing the present status and the actual condition of operational forest kindergarten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nationwide
발행기관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저자명
이소영(So Young Lee) 임재택(Jae Tack Lim) 김은주(Kim, Eun-Ju) 송주은(Song, Jooeun)
간행물 정보
『생태유아교육연구』제14권 제1호, 239~267쪽, 전체 29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5.03.31
6,2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전국 유아교육기관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통해 숲유치원 운영현황과 실태를 파악하고 이를 토대로 한국형 숲유치원의 발전 방안을 모색해 봄으로서 한국형 숲유치원의 내실화와 활성화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결과 숲유치원을 운영하는 기관은 전국 유치원 8,708곳 중 3,574곳(41%), 전국 어린이집 43,324곳 중 2,056곳(23%)이었으며, 운영주체는 두 기관 모두 ‘유아교육기관형’으로 주로 ‘동네숲(사유림/공유림)’을 이용하고 있었다. 숲유치원 담당 교사 수는 유치원은 ‘1~3명’이 1,406곳(39.3%), 어린이집은 ‘10명 이상’이 626곳(30.5%)으로 상이한 결과를 보였으며, 보조인력 수도 유치원은 ‘1~3명’이 2,677명(74.9%)인데 비해 어린이집은 ‘없음’이 1,108곳(53.9%)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숲유치원 운영현황과 실태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한국형 숲유치원 모형 및 새로운 용어 정립, 숲유치원 운영 형태별 효과연구, 숲유치원 운영단계별 지원체제구축과 같은 발전방안을 제시하며 이는 한국형 숲유치원이 정착하는데 실질적이고 효율적인 도움이 될 것이라 기대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basic data to enrich and enhance Korean-style forest kindergartens by understanding the present status and actual condition of operational forest kindergartens. This was done by focusing specifically o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nationwide. Based on this data, we attempted to formulate a developmental plan for Korean-style forest kindergartens. For we conducted an analysis based on the data from the questionnaires given to the empioyees of 51,923 institutions. The survey results indicated that 3,574 places(41%) from among 8,708 kindergartens were operating forest kindergartens. Two thousand and fifty-six places(23%) from amoung 43.324 places were operating it. With regard to the number of operational forest kindergartens according to type, kindergartens of the non-regular type were the most frequent, with 1,764 places (27.8%) operating them. There were a large number of integrated type (forest class type + regular type) child care centers, with 926 places (45.0%) operating them. With regard to forests in which both types of educational institutions were active, village forests (private forests/public forests) were the most frequently used. With regard to the number of people who had completed forest education training, 1,229 places (34.4%) had kindergartens with one to three employees who had completed the training. Child care centers that had four to six employees who were trained in forest education were found in 692 places (33.6%). Accordingly, the child care center teachers were found to have received more training with regard to forest education. On the basis of this basic data, developmental plans for Korean-style forest kindergartens were proposed along with the establishment of a model as well as new terminology for Korean-style forest kindergartens. Research on the effect of the manner in which forest kindergartens are operated was also initiated, and the implementation of a supportive system, based on the phase of operation of forest kindergartens, was proposed.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전국 숲유치원 운영현황 및 운영실태
Ⅳ. 한국형 숲유치원 발전방안
Ⅳ.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소영(So Young Lee),임재택(Jae Tack Lim),김은주(Kim, Eun-Ju),송주은(Song, Jooeun). (2015).전국 유아교육기관 숲유치원 운영현황과 실태분석을 통한 한국형 숲유치원 발전 방안에 관한 연구. 생태유아교육연구, 14 (1), 239-267

MLA

이소영(So Young Lee),임재택(Jae Tack Lim),김은주(Kim, Eun-Ju),송주은(Song, Jooeun). "전국 유아교육기관 숲유치원 운영현황과 실태분석을 통한 한국형 숲유치원 발전 방안에 관한 연구." 생태유아교육연구, 14.1(2015): 239-26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