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한국 청동기-초기철기시대 청동기 합금기술의 발전과정

이용수 742

영문명
Development of Bronze Alloy Technology in the Korean Bronze Age and Early Iron Age
발행기관
한국고고학회
저자명
조진선(Cho, Jinson) 이은우(Lee, Eunwoo)
간행물 정보
『한국고고학보』제121집, 445~474쪽, 전체 30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12.31
6,4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한국 청동기-초기철기시대 청동기에 대한 성분분석 결과는 600여 건에 이른다. 분석 결과들을 통계적으로살펴본 결과, 비파괴분석값은 파괴분석값보다 “구리 함량은 적어도 그 이상, 주석과 납 함량은 많아도 그 이하”인 경우가 많은 것을 확인하였다. 비파형동검문화의 청동기는 구리-주석-납 3원계 합금을 중심으로 하면서도 다양한 성분조성을 보이고 있어 여러 기술집단들이 존재해서 기술적 체계가 덜 확립되었을 가능성이 크다. 성분조성비를 보면 구리80%, 주석 10%, 납 10% 내외인 것들이 많지만 기종 간에 구분은 명확하지 않다. 동서리유형 세형동검문화의 청동기는 구리-주석-납 3원계 합금이나 구리-주석 2원계 합금으로 체계화되었다. 발전기에는 성분조성비가 기종별로 명확하게 구분되는데, 『주례』 「고공기」의 ‘금유육제’와 대부분 일치한다. 이는 당시의 선진지역인중국 중원지역에 견줄 수 있을 만큼 청동기 주조기술이 발달한 것을 보여주며, 동시에 청동기가 실용기였음을 의미한다. 원삼국시대에 해당하는 쇠퇴기에는 세형동검문화계 청동기라도 주석 함량이 줄어들고 납 함량이 증가하였다. 비소와 안티모니 등이 확인되기도 한다. 이러한 양상은 오수전 등 중국계 유물들에서도 확인된다. 이처럼 청동기-초기철기시대의 청동기 주조기술은 비파형동검문화가 등장하면서 본격적으로 발달하였고, 세형동검문화의 발전기에 한층 더 발달하면서 주석 함량이 증가하고 납 함량은 감소하였으며, 기종에 따라 성분조성비가 달라졌다. 그러나 쇠퇴기에는 주석 함량이 감소하고 납 함량이 증가해서 이전 시기와는 다른 양상을 보인다.

영문 초록

In this paper, we present the results of isotopic analyses of more than 600 bronze objects from the Bronze Age and Early Iron Age in Korea. The results of our analyses show that bronze objects belonging to the Lute-shaped Bronze Dagger Culture are all ternary alloys of copper, tin, and lead, mixed with other minor elements. The non-uniformity of their composition indicates the existence of several separate bronze industries at that time. While most of them consist of around 80% copper, 10% tin, and 10% lead, there are no clear differences in composition ratios amongst different types. Bronze objects that belong to the succeeding Slender Bronze Dagger Culture are either copper-tin-lead ternary alloys or copper-tin binary alloys. Their metal compositions and ratios match the descriptions of the “six levels in metallurgy (jin you liu qi, 金有六齊)” discussed in “The Artificers Record (Kaogongji, 考工記)” chapter in the “Rites of Zhou (Zhouli, 周禮)”. This not only demonstrates that the bronze casting technology in Korea at that time was comparable to that of China, where the most advanced bronze technologies were pioneered in the region, but also indicates that bronze wares were made and used as daily objects for practical use. By the following Proto-Three Kingdoms period, where bronze manufacturing and usage declined, bronze objects belonging to Slender Bronze Dagger Culture saw their tin content decreased while that of lead increased. Some minor elements such as arsenic and antimony were also present in these bronze objects. These changes are also evident amongst contemporary bronze objects in China, such as Wu Zhu coins (五銖). In summary, bronze casting technique was fully developed with the appearance of Lute-shaped Bronze Dagger Culture in Korea. The emergence of the subsequent Slender Bronze Dagger Culture showed a further advancement of bronze technology in Korea, not only indicated by increased tin content and decreased lead content, but also differential composition ratios according to the types of wares. In the following Proto-Three Kingdoms period, decreased tin content with increased lead content amongst bronze objects is evident.

목차

Ⅰ. 머리말
Ⅱ. 청동기의 과학적 성분분석 방법과 해석
Ⅲ. 청동기-초기철기시대 청동기의 성분분석
Ⅳ. 청동기-초기철기시대 청동기 성분조성 변화와 의미
Ⅴ.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조진선(Cho, Jinson),이은우(Lee, Eunwoo). (2021).한국 청동기-초기철기시대 청동기 합금기술의 발전과정. 한국고고학보, 121 , 445-474

MLA

조진선(Cho, Jinson),이은우(Lee, Eunwoo). "한국 청동기-초기철기시대 청동기 합금기술의 발전과정." 한국고고학보, 121.(2021): 445-47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