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청동기시대 高床式 貯藏施設 판별과 배치양상

이용수 488

영문명
Identifying Above-ground Granary and Spatial Patterns in the Korean Bronze Age
발행기관
한국고고학회
저자명
박성현(Park, Sunghyun)
간행물 정보
『한국고고학보』제121집, 383~412쪽, 전체 30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12.31
6,4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청동기시대 고상건물은 다양한 용도로 이용되었을 것으로 추정되어왔는데, 동시기 인접한 여타 유구와의 관계는 기존 연구에서 주요한 판별기준이 되어왔다. 그런데 고고학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취락 내 유구의 분포양상은 결과적으로 남은 잔존양상인바, 용도 추정에 절대적인 기준이 될 수 없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고상건물지 자체의 속성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청동기시대 고상식 저장시설을 판별해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분석을 위해 건축학적 요소를 고려하여 고상식 건물지의 주요 속성을 추출하고 다차원척도법을 통해 개체 간 군집양상을 관찰하였다. 그 결과, 크게 3가지 군집을 확인해볼 수 있었는데, 고상식 저장시설의 실사례, 건축학적 요소 등을 고려하여 중소형의 가장 다수의 개체가 군집을 이루는 그룹을 청동기시대 가장 보편적인 고상식 저장시설로 판별했다. 청동기시대 고상식 저장시설의 취락 내 배치양상은 (1) 고상식 저장시설이 가구군 중심부에 위치하거나 연접, (2) 취락 내 특정 공간에 저장시설이 집중 조영, (3) 특정 주거지와 인접하여 일대일 대응을 이루는경우로 분류해볼 수 있다. 이러한 배치양상은 특정한 유형이 뚜렷하게 부각되지 않고 유적에 따라 다양하게관찰되었다. 기존 연구에서 고상식 저장시설의 배치양상은 취락 내 저장관리 주체를 상정하는 근거가 되어왔는데 개별 유적 단위의 사회복합도와 비교·검증되지 않은바, 이를 사회복합화의 지표로 활용하는 것은 지양되어야한다. 또한, 다수의 유적의 경우 취락이라는 한정된 공간 내에서 여타 유구들의 조영-사용-폐기가반복되면서 배치양상이 불명확해졌을 가능성 역시 간과할 수 없다.

영문 초록

Above-ground buildings in the Korean Bronze Age are assumed to have performed various functions. Their functions have mainly been inferred based on contemporaneous features located nearby. However, as the archaeological distribution of remains in a settlement represent only the final use of the site, the relative placement of certain features cannot be used as the primary means of inferring function. This paper therefore aims to identify above-ground storage facilities by examining architectural factors, namely the main attributes extracted from building remains.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cases are analyzed through multidimensional scaling. As a result, it was possible to identify certain clusters as typical above-ground storage facilities commonly used during the Bronze Age. Three major spatial patterns of aboveground granaries could be observed, as follows. Firstly, the features could be located in the center of, or beside, household clusters. Secondly, the storage facilities could be concentrated in certain parts of the settlement, separated from the residential group. Thirdly, they could demonstrate a 1:1 corelation with certain adjacent houses. These three spatial patterns of above-ground storage facilities were evenly identified at sites. In previous studies, the location of storage facilities had been regarded as evidence for assuming that the management of storage at the settlement had taken place. However, since this interpretation has never been verified, its use as an index of social complexity should be avoided.

목차

Ⅰ. 서론
Ⅱ. 청동기시대 저장방식 연구의 문제
Ⅲ. 고상식 저장시설의 사례와 주요 속성 검토
Ⅳ. 청동기시대 高床式 肝藏施設 판별을 위한 계량적 접근
Ⅴ. 청동기시대 高床式 肝藏施設의 취락 내 배치양상
Ⅵ.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성현(Park, Sunghyun). (2021).청동기시대 高床式 貯藏施設 판별과 배치양상. 한국고고학보, 121 , 383-412

MLA

박성현(Park, Sunghyun). "청동기시대 高床式 貯藏施設 판별과 배치양상." 한국고고학보, 121.(2021): 383-41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