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탈북민을 통하여 본 ‘북한체제트라우마’(NKST) 불안연구

이용수 243

영문명
Analysis of the North Korean System Trauma Anxiety Through North Korean Refugees
발행기관
한국기독교상담심리학회
저자명
유혜란(Yoo, Hye Ran)
간행물 정보
『한국기독교상담학회지』제25권 제1호, 117~155쪽, 전체 39쪽
주제분류
인문학 > 기독교신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4.02.28
7,4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탈북민을 통하여 ‘북한체제트라우마’(NKST) 병리구조와 그로부터 파생된 불안성격을 현상학적으로 고찰하여 NKST 불안 심리체계도를 규명함으로써 탈북민의 환경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체제상처 치유를 위한 치료방안과 목회상담접근 모형을 제안하기 위한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질적 연구를 통하여 본 NKST 불안은, 김 일가의 조건반사적인 통치행태에 따른 NKST 불안메커니즘으로 형성된 북한주민들의 존재적 박해 및 박탈·공포불안에 뿌리를 두고 있었다. 북한 엘리트들(인터뷰 참여자)은 독재자에 대한 유기불안과 존재적 박해 및 박탈불안·공포불안·강박적 반추불안·숙청예기불안을, 일반형 주민들(인터뷰 참여자)은 감시·통제불안과 존재적 박해 및 박탈불안·공포불안 성격을, 소외형 주민들(인터뷰 참여자)은 성분 연류불안과 존재적 박해 및 박탈불안·공포불안·가중처벌예기불안 성격을 가지고 있었다. 그러므로 탈북민들은 독재사회에서 자유민주주의 사회로 전거하였지만, 체제상처인 거짓자기발달의 악순환으로 한국사회 적응에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본 연구를 통해 분단의 비극이라고 할 수 있는 체제상처(false self)치유는 탈북민의 한국사회적응은 물론 향후 남북통일에서도 선차적으로 해결해야 할 당면과제라는 인식을 하게 되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at suggesting a treatment method for wounds from the social system to help North Korean refugees cope with social environmental changes through a pastoral counseling model. According to the qualitative study, the North Korean system trauma anxiety was based on the North Korean’s existent persecution and deprivation anxiety and the terror anxiety from the NKST anxiety mechanism caused by the Kim family’s Pavlovian control system. The result of the interviews of the elite class showed abandonment anxiety, existent persecution and deprivation anxiety, terror anxiety, rumination anxiety, and purge anticipatory anxiety. The people in the normal class exhibited surveillance and control anxiety, existent persecution and deprivation anxiety, and terror anxiety while the alienated class showed origin related anxiety, existent persecution and deprivation anxiety, terror anxiety, and additional punishment anticipatory anxiety. Due to the vicious circle of false self, North Korean refugees have many difficulties in adapting to South Korea after they move from a totalitarian to a democratic society. This study calls attention to the need for treating the wounds created by a social system(false self) caused by the tragic division of the country. Curing the false self of North Korean refugees is an important issue not only for their stable adaptation in South Korea but also an urgent problem after the unification.

목차

Ⅰ. 서론
Ⅱ. 북한체재트라우마 (NKST)의 이론적 근거
Ⅲ. 연구방법
Ⅳ. 연구 결과
Ⅴ. 연구 결과에 대한 신학적 해석
Ⅵ. 목회상담학적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유혜란(Yoo, Hye Ran). (2014).탈북민을 통하여 본 ‘북한체제트라우마’(NKST) 불안연구. 한국기독교상담학회지, 25 (1), 117-155

MLA

유혜란(Yoo, Hye Ran). "탈북민을 통하여 본 ‘북한체제트라우마’(NKST) 불안연구." 한국기독교상담학회지, 25.1(2014): 117-15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