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학습 공간과 학습 경험의 성격에 기반을 둔 표준 혼합 학습 설계 모형의 개발

이용수 219

영문명
Development of a Standardized Model for the Blended Learning Design Based on the Learning Space and the Learning Experience
발행기관
표준인증안전학회
저자명
이상봉(Yi, Sangbong) 임휘(Lim, Huiy)
간행물 정보
『표준인증안전학회지』제11권 제4호, 77~95쪽, 전체 19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12.31
5,0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기존에 개발된 혼합 학습 설계를 비교 분석 및 종합하여 학습 공간과 학습 경험의 성격에 기반을 둔 표준 혼합 학습 설계의 모형을 개발하는 데 있다. 이 연구에서는 학습 공간에 따른 혼합 학습 유형, 학습 경험의 성격에 따른 혼합 학습 유형을 표준 혼합 학습설계 모형을 개발하기 위하여 종합적으로 연구하여 제시하였다. 학습 공간에 따른 혼합 학습 유형을 제시한Michael & Heather(2015)의 혼합 학습 설계와 Bath & Bourke(2010)의 혼합 학습 설계를 분석하여 혼합학습 설계 단계별로 수정 및 보완하여 종합하였다. 또한 Mager & Beach(1967)의 수업 개발 모형을 통해 수업개발의 기본적인 단계를 보완하여 반영함으로써 여러 교과 및 다양한 혼합 학습 상황에 적용이 가능한 표준 모형을 개발하였다. 학습 공간과 학습 경험의 성격에 기반을 둔 표준 혼합 학습 설계 모형은 준비, 개발, 실행, 개선의 네 단계를거치며 각각의 세부 절차에 따라 전개된다. 첫째, 준비 단계에서는 교육과정 분석, 학습자 분석, 혼합 학습 상황분석, 학습목표 선정의 절차를 수행한다. 둘째, 개발 단계에서는 세부 목표를 선정하고 학습 경험과 혼합 학습공간, 혼합 학습 전략을 선정하며 수업을 위한 혼합 학습 자료를 개발 및 디지털화 한다. 또한 학습의 평가를 위한 도구를 개발하고 이를 혼합 학습 관리 시스템에 탑재하여 학습자에게 제시한다. 셋째, 실행 단계에서는 학습자에게 혼합 학습의 전반에 대해 안내하고 혼합 학습을 실시하며, 넷째, 개선 단계에서 이를 토대로 설계된 혼합학습을 개선한다. 또한 동 교과 및 학습 주제의 전문가에 의해 혼합 학습 설계 및 수업 자료를 평가하고 보완하여 수업을 재실시 하는 절차를 거친다. 이와 같이 개발된 학습 공간과 학습 경험의 성격에 기반을 둔 표준 혼합 학습 설계 모형은 국내 여러 교과 및다양한 혼합 학습 상황에 적용가능하며, 이 연구를 토대로 각 교과의 성격을 반영한 혼합 학습 설계 모형, 혼합학습 유형별로 구체화된 혼합 학습 설계 모형을 개발에 대한 연구가 발전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developing a standardized model for the blended learning design based on the learning space and the learning experience by comparing, analyzing and synthesizing previously developed blended learning design models. In this study, the blended learning type according to the learning space, character of the learning experience, and the blending level were comprehensively studied and considered. The blended learning design of Michael B. H. & Heather S. (2015), which applied blended learning types according to learning spaces, and the blended learning design of Bath, D. & Bourke, J. (2010), which considered blended learning types according to level of blending, were analyzed and synthesized. In addition, through the instruction developing model of Mager, R. F. & Beach, K. M. (1967), a standardized model that can be applied to various blended learning situations was developed by supplementing and reflecting the basic steps of class development. This developed blended learning design model is improved according to each procedure through four stages of preparation, development, application and improvement. First, in the preparation stage, procedures for curriculum analysis, student analysis, blended learning environment analysis, and learning objective selection are included. Second, in the development stage, objectives for each courses are selected, blended learning experiences, learning spaces, and character of learning experiences are selected, and instructional materials for blended learning are developed and digitalized. In addition, a tool for performance assessment of learning is developed and mounted on a blended learning management system to present it to students. Third, in the application stage, students are guided on the overall blended learning and after, tried blended learning out. And fourth, in the improvement stage, blended learning is improved based on the result from application stage. In addition, it goes through a procedure of reimplementing classes by evaluating and supplementing blended learning design and instructional materials by experts in the subject and learning experience. In conclusion, a standardized model for the blended learning design based on the learning space and the learning experience is applicable to various subjects and blended learning situations in Korea, and based on this study, a blended learning design model that considers the characteristics of each subject is expected to be developed.

목차

Ⅰ. 서 론
Ⅱ. 혼합 학습
Ⅲ. 연구 방법
Ⅳ. 학습 공간과 학습 경험의 성격에 기반을 둔 표준 혼합 학습 설계
Ⅴ.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상봉(Yi, Sangbong),임휘(Lim, Huiy). (2021).학습 공간과 학습 경험의 성격에 기반을 둔 표준 혼합 학습 설계 모형의 개발. 표준인증안전학회지, 11 (4), 77-95

MLA

이상봉(Yi, Sangbong),임휘(Lim, Huiy). "학습 공간과 학습 경험의 성격에 기반을 둔 표준 혼합 학습 설계 모형의 개발." 표준인증안전학회지, 11.4(2021): 77-9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