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강의역량에 대한 교수자와 학습자 간 인식 차이 분석: 대학의 강의평가를 중심으로
이용수 811
- 영문명
- Analysis of differences in perception between instructors and learners on teaching competency
- 발행기관
- 한국핵심역량교육학회
- 저자명
- 박현재(Park, Hyunjae) 김대중(Kim, Daejoong)
- 간행물 정보
- 『핵심역량교육연구』제6권 제2호, 51~70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12.31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대학에서 강의평가로 대표되어지는 교수자의 강의역량에 대해 교수자인 교수 집단과 학습자인 학생 집단을 동시에 분석하였다. 강의평가제도를 통한 강의의 질이 제대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교수자는 학습자에 대해, 학습자는 교수자의 입장이 어떠한지를 파악하는 것은 중요하다. 그러나 강의평가를 기반으로 한 제반적 강의역량에 대한 교수집단과 학생집단 간 인식 차이를 학술적으로 연구된 논문이 없다는 것이다. 본 연구 수행을 위해 국내 종합사립대이며 다양한 전공과 계열을 갖춘 중형 규모의 D대학을 조사대상으로 분석이 이루어졌다. 분석방법으로 t검정, 의견의 내용타당도 검정인 CVR, 그리고 요인 간 영향관계 분석을 위해 회귀분석이 사용되었다. 주요 결과로는 첫째 4개의 세부질문(강의평가 구성 적절성, 교수의 강의 개선 활용성, 교수의 강의평가 내용 인지, 학생의 강의평가 답변 객관성) 중 학생의 강의평가 답변을 제외하고는 교수 집단의 평균 인식 값이 높게 나타났다. 다음으로 강의역량을 측정하는 데 있어서 강의평가 항목의 중요성에 대한 교수 집단과 학생 집단 간 인식 차이를 살펴본 결과, 교수 집단이 학생 집단보다 강의역량 관련 강의평가 요인들을 더 중요하게 인식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마지막으로 회귀분석을 통한 두 집단의 인식 차이의 유사성과 차이점을 비교해 본 결과, 먼저 영향력이 높은 1에서 3순위에 해당되는 독립변수(강의의 충실성 관련)는 동일하게 나타났다. 다음으로 교수 집단은 교수와 학생 간 상호작용이 관련 독립변수가, 그리고 학생 집단은 공정한 평가 관련 독립변인이 더 강의 만족도에 더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교수 집단과 학생 집단 간 인식 차이는 분명히 존재함이 확인되고, 어느 영역과 요인인지 그러한지를 본 연구에서 분석되어졌다. 도출된 연구결과들은 향후 대학 당국 입장에서는 현실성 있는 강의평가제도를 개선하는 데 참고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리라 본다.
영문 초록
In this study, the professor group and the learner group were simultaneously analyzed for the instructor s teaching competency, which is represented by lecture evaluation in universities. For the quality of lectures through the lecture evaluation system to be properly implemented, it is important for the instructor to understand the position of the learner and the learner on the position of the instructor. However, there are no academic papers on the difference in perceptions between the faculty and student groups on overall teaching competency based on lecture evaluation.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analysis was conducted on a medium-sized university, which is a private general university in Korea and has various majors and departments. As analysis methods, the t-test, CVR, which is a test of content validity of opinions,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factors. As a result, the average of the professor group except for the student s answer to the lecture evaluation among the 4 detailed questions(appropriateness of lecture evaluation structure, the professor s use of lecture improvement, the professor s recognition of lecture evaluation content, and the objectivity of the student s lecture evaluation answer) was higher than that of the student group. Next,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difference in perceptions between the faculty and student groups on the importance of lecture evaluation items in measuring lecture competency, it was analyzed that the professor group perceived lecture ability-related lecture evaluation factors as more important than the student group. Finally,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similarity and difference of perception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through regression analysis, the independent variable (related to lecture fidelity) with the highest influence 1 to 3 was found to be the same. And, in the faculty group the interaction between professors and students was an independent variable, and in the student group, the independent variable related to fair evaluation had more influence on lecture satisfaction. As such,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as a clear difference in perception between the faculty group and the student group, and what areas and factors were analyzed in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the derived research results can be used as reference materials for improving realistic lecture evaluation questions and systems
from the perspective of university authorities in the future. Ultimately, from the point of view of the professor as the instructor, it can be used to develop the instructor s own teaching ability.
목차
Ⅰ. 서론
Ⅱ. 문헌고찰
Ⅲ. 연구방법
Ⅳ. 분석결과
V. 결론 : 요약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일본 국립대학법인 성과관리체제 사례 분석 : 국립대학법인평가를 중심으로
- 교양과 단과대학별 전공 교과목의 PBL 적용에 따른 강의평가 및 학생역량에 있어서의 차이
- 강의역량에 대한 교수자와 학습자 간 인식 차이 분석: 대학의 강의평가를 중심으로
- 영국(잉글랜드)의 진로개발역량 정책 틀 분석 - CDI의 2021 개정 진로개발 틀을 중심으로
- 대학교수의 교수역량에 대한 중요도 인식 A대학 교수자를 중심으로
- 요구분석 기반 산업체 기초직무역량 비교 분석 : 대학의 계열별 진출 산업체를 중심으로
- ‘코로나(COVID-19)’를 소재로 한 PBL 글쓰기 수업 모델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AI 기반 피드백 시스템이 초등학생의 통계적 탐구 질문 설정 향상에 미치는 영향 : AI 인식과 피드백 자기 효율성의 조절 효과
- 1900년대 후반~1920년대 초등 교원 양성의 변화 추이
- 삼각형의 합동 및 합동기호의 교육과정별 정의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