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교양과 단과대학별 전공 교과목의 PBL 적용에 따른 강의평가 및 학생역량에 있어서의 차이

이용수 385

영문명
Differences in lecture evaluation and student competency according to PBL application of liberal arts and major subjects by college
발행기관
한국핵심역량교육학회
저자명
허영주(Hur, Youngju)
간행물 정보
『핵심역량교육연구』제6권 제2호, 71~92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12.31
5,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는 교양 및 단과대학별 전공교과목의 PBL 활용 여부에 따른 강의평가와 학생역량 점수의 차이를 파악함으로써, 단과대학별로 PBL 활용 전략을 제시하는 데 목적을 두고 진행되었다. 이를 위해 N대학교의 2021학년도 1학기에 운영된 교양 및 전공교과목 중 경향점수매칭을 통해 선정된 PBL 적용 교과목 108개와 PBL 적용 안 한 교과목 108개를 연구의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양 및 단과대학별 전공교과목의 강의평가 점수에는 차이가 있었으며, 교양대학이 가장 높고 창조문화예술대학이 가장 낮았다. 또한, PBL을 적용한 교과목의 강의평가 점수가 적용 안 한 경우보다 유의미하게 높았다. 단과대학별로 PBL 적용 한 교과목과 적용 안 한 교과목의 강의평가 점수 차이는 글로벌 상경대학이 가장 적고, 창조문화예술대학이 가장 큰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교양 및 단과대학별로 개설된 전공교과목의 학생역량 점수에는 차이가 있었으며, 교양대학과 글로벌상경대학의 점수가 창조문화예술대학의 역량점수보다 높았다. 또한, PBL을 적용한 교과목의 학생역량 점수가 적용 안 한 경우보다 높았다. 단과대학별로 PBL 적용 한 교과목과 적용 안 한 교과목의 학생역량 점수 차이는 창조문화예술대학이 가장 크게 증가했고, 보건의료복지대학은 오히려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통해 강의평가 점수와 학생역량 증진이라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단과대학별로 PBL 활용에 관한 전략이 차별화되어야 함을 제안하였다. 교양대학의 교양교과목과 공과대학, 창조문화예술대학의 전공교과목을 위해서는 PBL을 적극적으로 확대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였다. 또한, 글로벌상경대학은 글로벌상경대학의 전공 특성에 맞는 PBL 주제를 개발하고, 팀티칭 등을 통해 산업현장과 함께 하는 수업을 진행하도록 지원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였다. 반면, 보건의료복지대학을 위해서는 자격증 취득이나 국가시험을 위한 교과목과 현장 적용력을 높이기 위한 교과목을 분리한 후, 교과목의 목적에 맞는 교육방법을 탐색하는 후속연구를 진행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purpose of presenting PBL utilization strategies for each college by identifying the difference between lecture evaluation and student competency scores depending on whether or not PBL was used in liberal arts and major subjects by colleges. For this purpose, 108 PBL-applied subjects and 108 non-PBL-applied subjects selected through propensity score matching method among liberal arts and major subjects operated in the first semester of the 2021 year of N University were studied.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lecture evaluation scores of liberal arts and major subjects by colleges, the Liberal Arts College was the highest, and the Creative Culture and Arts College was the lowest. And, the lecture evaluation scores of subjects to which PBL was applied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to which PBL was not applied. It can be seen that the difference in the lecture evaluation scores of the subjects to which PBL was applied and the subjects which did not apply the PBL by college was the smallest in the Global Business College and the largest in the Creative Culture and Arts College. Second,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student competency scores of liberal arts and the major courses by colleges, and the scores of the Liberal Arts College and the Global Business College were higher than the competency scores of the Creative Culture and Arts College. And the student competency scores of subjects to which PBL was applied were higher than those in which PBL was not applied. The difference in student competency scores between subjects to which PBL was applied and subjects to which PBL was not applied by each college increased the most in Creative Culture and Arts College, and decreased in the College of Health and Welfare. Through these research results, I suggested that strategies for using PBL should be differentiated for each college 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ive of improving lecture evaluation scores and student competency. I suggested that it is necessary to actively expand the PBL for liberal arts courses in Liberal Arts College and major courses in Engineering College and Creative Culture and Arts College. Also, I suggested that the Global Business College needs to develop a PBL topic suitable for the major characteristics, and to support classes with industrial sites through team teaching, etc. On the other hand, I suggested that for the College of Health and Welfare, it is necessary to separate subjects for obtaining certifications or national exams from subjects for enhancing field application, and then conducting follow-up research to explore educational methods suitable for the purpose of subjects.

목차

Ⅰ. 문제의 제기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내용 및 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논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허영주(Hur, Youngju). (2021).교양과 단과대학별 전공 교과목의 PBL 적용에 따른 강의평가 및 학생역량에 있어서의 차이. 핵심역량교육연구, 6 (2), 71-92

MLA

허영주(Hur, Youngju). "교양과 단과대학별 전공 교과목의 PBL 적용에 따른 강의평가 및 학생역량에 있어서의 차이." 핵심역량교육연구, 6.2(2021): 71-9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