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교육의 종교적 지평에 관한 연구

이용수 23

영문명
A Research on the Religious Dimensions of Education
발행기관
한국종교교육학회
저자명
박범석(Park, Beomseok)
간행물 정보
『종교교육학연구』제28권, 141~159쪽, 전체 19쪽
주제분류
인문학 > 종교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8.12.31
5,0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교육과 종교는 인간을 현재 상태보다 더 나은 존재로 고양시키기 위한 공통적인 목적성을 가지면서, 그 과정상으로는 점진적이고 축적적인 성장인가 아니면 비약적이고 초월적인 성숙인가에 따른 다양한 양태로 나타난다. 이들 두 영역이 다른 학문과 구분되는 눈에 띄는 특징은 공통적으로 ‘교(敎)’라는 가르침의 의미를 갖는 점이다. 앎이라는 인식의 차원에 머물지 않고 가르침이라는 실천과 구현의 의미를 담고 있는 것은 학문 영역에 있어서도 독특한 성격이라 할 수 있다. 인간과 문화의 가르침이라는 점에서 두 학문 영역의 실천(praxis) 체계는 다른 그 어느 학문보다 가치중심성과 책임성이 내포되어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교육의 종교적 지평을 논의하는 것은 교육을 통한 지적인 축적과 인격적 성숙은 물론 인간존재의 근원적인 성찰과 궁극적인 변화를 모색하기 위한 시도로서의 의미를 갖는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대표적인 서구의 교육이론에 내포된 종교적 차원과 영적 지향성을 음미하였다. 나아가 인간의 체험세계의 근저에는 개별적인 무의식과 집단적인 신화 세계가 밀접한 상호관계의 역동으로 존재하고 있음을 드러내고, 그에 따른 신화적-시적 상상력에 기반한 교육과정 구성의 필요성을 재개념주의자의 주장을 통해 살펴보았다. 이러한 교육의 종교적 양상들이 이론적이고 추상적인 면에서만이 아니라, 교육활동의 실제적인 측면에서도 종교적 지평과 만나고 있음을 설명하기 위해 성직으로서의 교직관의 가치와 통과의례로서의 인격형성의 특징을 간결하게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is paper aims to investigate the religious dimensions of theory and praxis in education. There are common objects both of education and religion to cultivate human nature. Most of all, ‘teaching’ is one of the common characters in the practical realms of education and religion. But the problems of this paradigm of education lie in its exclusive emphasis on the logical, rational, and analytic pattern of thinking that tends to cause the lack of attention to the multidimensional qualities in education. Subsequently, it has degraded the religious dimensions in the educational fields such as holistic, ecological, transcendental and intuitive awareness of the world and human existence. The scientific and rational circuit of “teaching-learning” has excluded the personal emotion, feeling and awakening in the field of education. This kinds of modern tendency justified the elimination of the spiritual and transcendental aspects from phenomena of education. Rites of passage offer us the educational metaphors as the chance to transfer educational aims of self-actualization to that of self-transcendence and to hold a balance between the two. Mytho-poetic imagination allow us to have broad thinking framework based on tacit and intuitive awareness enabling us to overcome the limits of the logical, analytic and conceptual knowledge in modernistic education. Religious experience can be integrated to curriculum or educational program, and different subject-matters. It is necessary to realize the human virtue by sharing education with religion in the integrative dimension. Preferentially, we have to dissolve the distorted ideas about education and religion. Then, It will be the field to give form the ultimate question mutually, like “What is the final virtue of education?” in the religious aspect and “What will be the educational virtue of religion” in the educational aspect.

목차

Ⅰ. 서론
Ⅱ. 교육이론의 종교적 지평
Ⅲ. 체험세계의 신화적 차원
Ⅳ. 교육활동의 종교적 차원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범석(Park, Beomseok). (2008).교육의 종교적 지평에 관한 연구. 종교교육학연구, 28 , 141-159

MLA

박범석(Park, Beomseok). "교육의 종교적 지평에 관한 연구." 종교교육학연구, 28.(2008): 141-15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