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선(禪)과 화(畵)의 남북종론

이용수 11

영문명
A Reinterpretation of Tong Ki-Chang’s Thesis on the Southern and Northern Painting Styles
발행기관
한국종교교육학회
저자명
이광수(Ri, Kwangsu)
간행물 정보
『종교교육학연구』제28권, 193~211쪽, 전체 19쪽
주제분류
인문학 > 종교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8.12.31
5,0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동기창이 ‘남북종론’을 제시한 것은 그의 사심으로 역사를 위조하여 다른 세력을 배척하기 위함이 아니다. 또한 자기의 종파를 형성하기 위한 것은 더더욱 아니다. 단지 선학(禪學)의 남돈북점(南頓北漸)이란 특성을 차용하여 회화의 미학범주를 확대하기 위한 것이었으며 따라서 그의 남북종론은 지금까지 일방적으로 인지되어온 부정적인 측면 이외의 다른 시각을 필요로 하고 있다. 동기창의 ‘남북종론’은 당시 사상계에 선학이 유행하는 시점과 맞추어 산수화 영역에서 회화의 창작과 수장, 감상, 평론에서 나타난 여러 문제들에 대해 그 대안을 제시 한 것이라 볼 수 있다. 즉 그의 ‘남북종론’은 선리(禪理)로 화리(畵理)를 설명하는 이론을 제출하여 그가 활동한 당시 시대 상황과 회화발전 추세에 어느 정도 부합되었다고 평가해야 할 것이다. 최근 많은 학자들이 ‘화분남북종’론을 언급할 때 ‘남종’에 속하는 화가를 ‘문인’의 화가로 논하면서 상대적으로 ‘북종’의 화가를 ‘우리가 배울 바가 아니다’라는 것과 같이 해석하여 북종에 대한 섣부른 평가를 가져오게 하였다. 이를 나열해 보면 ‘남종’은 ‘문인화’요, ‘재야화가의 그림’이라고 하고 ‘북종’은 ‘공장화’이며 ‘화원’의 그림이라는 결론에 이르게 된다. 그 결과 동기창이 처음에 제시한 ‘남종’ ‘북종’ 이란 이 두 단어는 본래 의의가 왜곡되기 시작하여 그의 남북종론은 점차 그의 의도와 다르게 변질되어 가고 있음을 발견하게 된다.

영문 초록

When Tong Ki-Chang proposed the Thesis on the Southern and Northen Painting Styles, he did not intend it to be an instrument to boycott other views, nor to establish his own artistic sect. In this respect, his Thesis on the Southern and Northen Painting Styles should be reinterpreted different from the conventional view that has stressed the negative aspects of the Thesis. By applying the doctrines of Zen Buddhism prevailing at the time to the theory and practice of landscape painting, Tong Ki-Chang proposed the Thesis of the Southern and Northern Painting Styles as a solution to various problems concerning the contemporary landscape painting in its creation, preservation, appreciation, and criticism. The Thesis proved to a successful attempt to adjust the current state of painting to the dominant ideology of the time by explaining the principle of painting by the principle of Zen. In other words, a great number of scholars interprets the two statements in such a way that the Thesis on the Southern and Northern Style Paintings indicates that the painters of the Souther Style belong to the tradition of the literary artist’s painting while there is nothing to learn from the Northern style. However, I argue that it is ungrounded, because such a premise entails the conclusion that the Southern Style represents the style of individual literary artists, but the Northern Style refers to the paintings mass-produced in painting factory. As a result, the intended meanings that Tong tried to put into the terms of the Southern Style and the Northen Style have been distorted. By extension, the original intention of the Thesis on the Southern and Northern Painting Styles has been misinterpreted.

목차

Ⅰ. 서론
Ⅱ. “화분남북종(畵分南北宗)”론의 본질
Ⅲ. 동기창에게 있어서 선(禪)의 의미
Ⅳ. 화선파(畵禪派)의 번성과 변질
Ⅴ. 맺음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광수(Ri, Kwangsu). (2008).선(禪)과 화(畵)의 남북종론. 종교교육학연구, 28 , 193-211

MLA

이광수(Ri, Kwangsu). "선(禪)과 화(畵)의 남북종론." 종교교육학연구, 28.(2008): 193-21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