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Marcia의 청소년 자아정체성 발달 모형에 따른 가톨릭 청년의 종교적 자아정체성과 종교성 관계 연구

이용수 148

영문명
The Relation between Religious Identity and Religiosity According to Marcia’s Identity Model in Catholic Youths
발행기관
한국종교교육학회
저자명
김동기(Kim, Donggi)
간행물 정보
『종교교육학연구』제37권, 89~109쪽, 전체 21쪽
주제분류
인문학 > 종교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1.12.31
5,3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Marcia의 모형에 따른 종교적 자아정체성을 발달을 고찰하기 위하여 세 가지 가설을 설정하였다. 첫째, 청년기에 종교적 자아정체성이 연령과 더불어 발달해감에 따라 유예나 성취 상태는 증가하고, 혼미나 유실 상태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일 것이다. 둘째, 종교적 자아정체성 발달은 내재적 종교정향, 외재적 종교정향, 추구적 종교정향 간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낼 것이다. 셋째, 종교적 자아정체성 발달은 신앙성숙 가운데 수직적 주제, 수평적 주제, 일반적 주제 간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낼 것이다. 연구대상자는 가톨릭 청년(1,872명)이며 5개 집단으로 나누어 발달 경향을 검증하였다. 조사도구는 종교적 자아정체성 상태 측정 문항, 종교정향 척도, 신앙성숙 척도 등이다. 주요 결과에서는 다음과 같이 세 개의 가설이 지지되었다. 첫째, Marcia의 자아정체성 상태를 종교적 자아정체성 상태로 대체하여 척도화한 네 가지의 정체성 상태 가운데 유예와 성취는 연령이 증가할수록 비율이 점차 높아지는 경향을 나타내고, 유실과 혼미는 연령이 증가할수록 비율이 점차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둘째, Allport의 종교정향에서 외재적 정향보다 내재적 정향에서 종교적 자아정체성이 의미 있는 차이로 더 높게 나타났다. 또한 Batson의 내적 정향이 외적 정향보다 종교적 자아정체성 발달이 유의미하게 더 높았다. 셋째, 종교적 자아정체성은 신앙성숙 정도 차이에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즉, 수직적 주제를 지향하는 사람이 수평적 주제를 지향하는 사람보다 더 뚜렷한 종교적 자아정체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e development of Religious Identity in accordance with the Marcia’s Identity Model is examined based on the following three hypotheses. First, during adolescence, with increasing age and level of Religious Identity development, there is an increase in the level of Moratorium and Achievement, while on the other hand there is a decrease in Diffusion and Foreclosure. Second, in relation to Religious Identity development,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Intrinsic Religious Orientation, Extrinsic Religious Orientation, and Quest Religious Orientation. Third, in Religious Identity development, for the Mature Faith Scales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Horizontal Themes and Vertical Themes. The participants of this research study were 1,872 Catholic youth, who were divided into five groups. The measurement instruments included the Religious Identity Questionnaire, Religious Orientation Scale, Mature Faith Scales, among others. Overall, the results of the research study support the three hypotheses. First, Marcia’s Identity Model was replaced with Religious Identity, and among the four identity measures, there was a tendency for Moratorium and Achievement to increase with age, while on the other hand Foreclosure and Diffusion decreased with age. Second, with regards to Allport’s Religious Orientation, Intrinsic Religious Orientation showed a significantly higher difference with Religious Identity then Extrinsic Orientation. In addition, Batson’s Intrinsic Orientation was significantly higher then Extrinsic Orientation for Religious Identity Development. Thir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Religious Identity and Mature Faith. In other words, individuals with Horizontal-Theme orientation tendencies have clearer Religious Self-Identity then individuals with Vertical-Theme orientation.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및 해석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동기(Kim, Donggi). (2011).Marcia의 청소년 자아정체성 발달 모형에 따른 가톨릭 청년의 종교적 자아정체성과 종교성 관계 연구. 종교교육학연구, 37 , 89-109

MLA

김동기(Kim, Donggi). "Marcia의 청소년 자아정체성 발달 모형에 따른 가톨릭 청년의 종교적 자아정체성과 종교성 관계 연구." 종교교육학연구, 37.(2011): 89-10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