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종교교과서 인정제도의 변화와 종교교과서 개발

이용수 35

영문명
The Accreditation Process Change and the Cultivation Suggestion for a New Religious Education Textbook
발행기관
한국종교교육학회
저자명
김재영(Kim, Chaeyoung)
간행물 정보
『종교교육학연구』제37권, 19~41쪽, 전체 23쪽
주제분류
인문학 > 종교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1.12.31
5,5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종교교과서 인정제도의 변화와 문제점, 외국의 상황, 그리고 교과 교육과정과 교육과정의 목표와 연결해서 종교교과서 발행과정과 앞으로 생각해 보아야 할 문제를 비판적으로 살펴보았다. 그 과정에서 알 수 있었던 것은 인정제도가 생기면서 비로소 종교교과서도 하나의 정규 교과서로 인식되었고 또한 인정제도가 생기기 이전과 비교해서 내용적으로도 특정 종교에 대한 강조보다는 나름대로 종교일반에 대한 균형적인 열린 시각을 갖도록 제도적인 토대가 마련되었다는 점이다. 이 점에서 종교교과서 인정제도는 고무적인 일이라고 평가할 수 있다. 하지만 공감의 악보로서 받아들일 수 있는 종교교과서가 탄생되기 위해서는 두 가지 문제가 극복되어야 한다. 하나는 종교교과서 인정도서 신청자격은 제도적으로 사용자보다는 종교교과서에 대한 구상을 의욕적으로 계획할 수 있도록 저자나 출판사로 바뀌어야 한다는 점이다. 외국의 사례를 참조하여 보더라도 종교교과서 인정제도는 궁극적으로 자유발행 제도로 바뀌어야 한다. 그래서 누구라도 종교교과서를 나름대로 출간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어야 하고 사용자로부터 채택이나 거부 평가도 자유롭게 받을 수 있어야 할 것이다. 다른 하나의 문제는 기존의 종교교과서 인정제도나 아니면 종교교과 교육과정은 모두 학생의 관점이 어떻게 인정제도나 교육과정 안에 구체적으로 설계되어 있는지 파악할 수 없게 되어 있다. 오히려 인정제도는 교육청이 관할하고 있고, 특정 종교도서의 종교교과서로서 인정 사용권 신청은 학교장에게 있고, 종교교과 교육과정에 대한 계획은 주로 학자들이 중심이 되어서 학생들의 입장보다는 일방적으로 학생들에게 전달해야 할 종교 지식의 내용에 그 초점이 모아져 있다. 그러다 보니 구체적으로 청소년기에 있는 학생들의 전인적 발달 상황에 대한 심층적 이해나 종교와 관련해서 갖게 되는 “솔직한 생각이나 경험한 내용들”을 토론할 수 있는 교육적 배려가 제시되어 있지 않다. 앞으로 이 부분에 대한 이해는 단순히 기존의 종교에 대한 개념이나 지식 중심으로 교과 과정이 서술되기 보다는 청소년기의 학생들이 어떻게 종교를 바라보고, 경험하고, 그리고 성찰하고 있는지에 대한 실질적 이해를 토대로 종교교과 교육과정 안에 개진되어야 종교교육의 악보로서의 역동성이 유지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In this paper I have attempted to examine critically the accreditation process change of religious education textbook publication and then articulate the ignored part in the present national curriculum of religious education in Korea. I analyzed the recent change of the accreditation process change from the fourth to the seventh renovated national curriculum process. In the process I have come to realize that the accreditation process was not initiated by the Korean Ministry of Education but the religious mission funded secondary school. The mission funded school wanted to establish religious education as a regular class subject in the secondary school. So the Korean Ministry of Education has accepted the mission school suggestion with one condition. The condition is on the publication of religious education textbook through the accreditation process. If it would not have an official accreditation for any religious education textbook, it could not be used as a textbook in religious education class. Due to this condition, the real responsible person is not the writer of textbook and publisher but the school principal. I think that this condition has been the problem for the development of the good quality textbook. For the reference to the foreign cases in other countries, especially Europe and North America, I have exchanged many e-mails with the key scholars of religious education and discussed on the issues. Alas! I came to realize that they do not have any accreditation process system of religious education textbook publication. They all commonly emphasized that religious education textbook should be published freely. Text writer and publisher should be the most important constituent for the good quality of religious education textbook. If so, eventually the free publication would improve the quality of religious education textbook. In this sense, Korean present accreditation system should be changed into the free publishing system. It will be helpful for the school to choose good quality textbooks. It will also be encouraging for the textbook writer and the publisher. Finally in this paper I suggested two things for the future concern of religious education textbook cultivation. The first thing is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religious education curriculum and other subject curriculums. For example, Korean history, world history, and philosophy subjects have section on religion which are overlapped with religious education. So it should be rearranged with other curriculum committees. The second thing is about concern of student experience and thought on religion in their life. The present curriculum is focused on knowledge and teacher oriented curriculum. Due to this aspect, student dimension does not be considered enough. Further the present curriculum does not seemingly welcome the free expression of religion related experience in the class. I think that it should be more welcomed for the better future Korean and global citizen whatever students would have opinions about religions in class. Religious education class should be more experimental for student’s own critical reflection of religion.

목차

Ⅰ. 들어가는 말
Ⅱ. 종교교과서 인정제도의 배경과 변화
Ⅲ. 종교교과서 인정제도의 기준과 진행절차
Ⅳ. 유럽과 북미의 종교교과서 간행 상황
Ⅴ. 악보(樂譜)로서의 종교교과서 개발의 유의점
Ⅵ. 나오는 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재영(Kim, Chaeyoung). (2011).종교교과서 인정제도의 변화와 종교교과서 개발. 종교교육학연구, 37 , 19-41

MLA

김재영(Kim, Chaeyoung). "종교교과서 인정제도의 변화와 종교교과서 개발." 종교교육학연구, 37.(2011): 19-4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