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일제강점기 민족종교의 역할과 보천교의 독립운동

이용수 97

영문명
A Role of National Religion and Independence Movement of Bocheongyo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발행기관
한국종교교육학회
저자명
전광수(Jeon, Kwangsoo)
간행물 정보
『종교교육학연구』제60권, 257~270쪽, 전체 14쪽
주제분류
인문학 > 종교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07.31
4,4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2019년은 3․1독립운동과 대한민국 임시정부수립 100주년이 되는 해이다. 일제강점기 민족종교를 탄압하려는 조선총독부의 정책은 1915년 포교규칙을 만들어 신도, 불교, 기독교만을 종교로 인정하고 동학의 정신을 이어받은 천도교, 보천교는 물론 김좌진 장군의 북로군정서를 중심으로 한 대종교 등을 유사종교로 만들었다. 일제강점기 민족종교의 역할 가운데 가장 두드러진 특징은 망국과 도탄에 빠진 민중들에게 새로운 세상이 열릴 것이라는 희망의 메시지를 전해주는 것과 민족의 단합을 이끌고 항일운동의 중추적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었다. 동학을 중심으로 교세를 펼쳐나간 민족종교 단체의 항일활동은 지금까지 제대로 평가받지 못한 체 오늘에 이르렀다. 당시 후천개벽사상은 억압과 수탈로 신음하는 조선인들에게 치유이자 희망이었다. 동학을 창도한 수운의 동학사상은 증산에 의해 그 정신이 지속되어 민족종교운동은 급속히 전파되었다. 차경석은 수운과 증산의 가르침을 정치적으로 확대하여 암울하고 도탄에 빠진 식민지시대 백성들에게 후천개벽이라는 희망의 메시지를 전해주면서 독립군 군자금 모집과 항일독립운동을 결행한 주요 민족종교 가운데 하나였던 보천교를 창시한 핵심인물이었다.

영문 초록

2019 marks the 100th anniversary of the March 1 Independence Movement and the establishment of a provisional government in Korea. During Japapnese colonial era, The Choseon Governor- General’s policy to suppress ethnic religion was established in 1915 and only Shindo, Buddhists and Christians were recognized as religions. The two religions, Cheondogyo and Bocheongyo, which inherited the spirit of Donghak, as well as Daejonggyo, which focuses on the Bukro- military regime of General Kim Jwa-jin, have become similar religions. The most prominent of the roles of ethnic religion was to convey a message of hope to the people who were devastated and robbed of their country, to lead the unity of the people and to play a pivotal role in the anti-Japanese movement. Anti-Japanese activities by ethnic religious groups, which have spread around Donghak, have not been properly evaluated until now, and have reached today. At that time, the Huchongaebyuck idea was a healing and hope for the people who groaned with oppression and extortion. Suwoon’s Donghak Thought, which led to Donghak, was carried on by Jeungsan, so that the national religious movement spread rapidly. Cha Kyung-suk politically expanded the teachings of Suwoon and Jeungsan. As a result, it delivered the message of Hucheon’s hope to the grim and broken colonial people, and was a major ethnic religious group that organized the independence army’s military fund-raising and anti-Japanese independence movement.

목차

Ⅰ. 들어가는 말
Ⅱ. 일제의 민족종교 탄압과 보천교의 독립운동 자금지원
Ⅲ. 보천교의 항일운동
Ⅳ. 맺는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전광수(Jeon, Kwangsoo). (2019).일제강점기 민족종교의 역할과 보천교의 독립운동. 종교교육학연구, 60 , 257-270

MLA

전광수(Jeon, Kwangsoo). "일제강점기 민족종교의 역할과 보천교의 독립운동." 종교교육학연구, 60.(2019): 257-27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