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한국 고고학의 ‘原史’ 개념 도입과 원삼국시대론

이용수 416

영문명
Introduction of the Concept about ‘Proto-history’ in Korean Archeology and the Argument of Proto-three Kingdoms Period
발행기관
한국대학박물관협회
저자명
박경신(Park Kyoung-shin)
간행물 정보
『고문화』제97집, 7~44쪽, 전체 38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06.30
7,3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한국 고고학에 처음으로 原史 개념을 도입한 것은 김원룡이다. 김원룡은 선사와 역사시대의 과도기, 원사 단계의 삼국시대라는 의미로 원삼국시대(원사)를 설정하였다. 일본에서는 19세기 말에 인류학 분야에서 이미 원사 개념을 사용하고 있었는데 유럽의 고고학적 層序學에 영향을 받은 결과였다. 우리나라 원사 개념의 등장에 도화선이 된 것은 일제강점기에 조사된 김해 회현리 패총이다. 김해 회현리 패총에서 출토된 유물을 통해 김해시대, 김해식토기 등의 개념이 탄생하였다. 김원룡은 1972년 기존의 김해시대를 대체한 원삼국시대 개념을 처음 제안하였다. 그러나 원삼국시대 명칭 도입은 수많은 시대구분논쟁의 불씨가 되었다. 원삼국시대 명칭 비판론으로는 철기시대론, 삼한시대론, 고조선시대론 등이 있다. 그리고 원삼국시대의 상한에 대해서도 기원전후, 낙랑군 설치, 삼각형점토대토기 등장 등 다양한 기준점이 제시되었다. 또한 원삼국시대 타날문토기의 계보, 연대 문제가 불거진 뒤부터 와질토기 논쟁이현재까지도 가속화되고 있다. 이러한 논쟁은 중도식무문토기 등 원삼국시대 물질자료 전반에 대한 문제로 확대되었다. 지금까지도 원삼국시대(원사)의 시기구분, 물질자료의 성격을 둘러싼 다양한 통설의 설정 및 폐기가 반복되고 있다. 그러나 각각의 주장에도 불구하고, 원사 개념의 모든 조건을 만족시킬 정도의 정의에는 미치지 못하고 있다. 다만 선학의 논쟁 과정이 현재 한국 고고학의 근간이 되었음에는 의심할 여지가 없기 때문에 학문적 한계마저도 학술적인 평가를 받기에 충분하다.

영문 초록

Kim, Yonyong is the one who introduced the concept of Proto-history in Korean archeology for the first time. Kim, Yonyong(金元龍) set up the Proto-three Kingdoms Period(Proto-history) in the meaning as the transitional period between prehistoric period and historical period, and the Three Kingdoms Period of Proto-history stage. In the end of the 19th century, Japan already used the concept of Proto-history in the anthropology area, which was influenced by archeological stratigraphy of Europe. The appearance of the concept of Proto-history in Korea was triggered by Hoehyeon-ri shell mound in Gimhae which was researched in the Japanese colonial era. Based on the relics excavated in Hoehyeon-ri shell mound in Gimhae(金海 會峴里 貝塚), the concepts like Gimhae period and Gimhae-type pottery were set up. In 1972, Kim, Yonyong initially suggested the concept of Proto-three Kingdoms Period substituting for the existing Gimhae period. However, the introduction of the name as Proto-three Kingdoms Period caused numerous controversies of periodization. Representatively, as an objection to the name as Proto-three Kingdoms Period, the argument of iron age(鐵器時代論), the argument of three Hans period(三韓時代論), and the argument of Gojoseon period(古朝鮮時代論) appeared. And regarding the upper limit of Proto-three Kingdoms Period, various reference points were presented such as around AD, installation of Nangnang(樂浪) commandery, and appearance of Triangulated clay-stripe pottery. Also since the issue of genealogy and period of Tanalmun pottery(打捺文土器) in proto-three Kingdoms Period was brought up, the controversy of gray pottery has been accelerated even till today. This controversy was expanded to the issue of overall material data of Proto-three Kingdoms Period such as Jungdo-type plain pottery. Like this, since the introduction of the concept of Proto-three Kingdoms Period(Proto-history), various commonly-accepted theories surrounding periodization and nature of material data have been repetitively set up and discarded. However, despite each argument, it does not reach the satisfactory definition that could meet all the conditions of the concept of Proto-history. However, there is no doubt that the controversy process led by the scholars in the past has become the basis of current Korean archeology, so even the scholarly limitation is good enough to get academic evaluation.

목차

Ⅰ. 머리말
Ⅱ. 原史로의 접근
Ⅲ. 원삼국시대론
Ⅳ. 타날문토기와 연대론
Ⅴ. 중도식무문토기와 낙랑
Ⅵ.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경신(Park Kyoung-shin). (2021).한국 고고학의 ‘原史’ 개념 도입과 원삼국시대론. 고문화, 97 , 7-44

MLA

박경신(Park Kyoung-shin). "한국 고고학의 ‘原史’ 개념 도입과 원삼국시대론." 고문화, 97.(2021): 7-4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