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청소년의 기질과 스마트폰 중독의 관계에서 가족기능성의 조절효과

이용수 294

영문명
Moderating Effect of Family Functioning Between Adolescent Temperament and Smartphone Addiction
발행기관
한국가족치료학회
저자명
최아름(A-Ruem Choi) 김현수(Hyun-Soo Kim)
간행물 정보
『가족과 가족치료(구 한국가족치료학회지)』가족과 가족치료 제29권 제2호, 343~358쪽, 전체 1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심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06.30
4,7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청소년의 기질과 스마트폰 중독의 관계에서 가족기능성의 조절효과를 확인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기질로는 스마트폰 중독과 관련이 높은 것으로 알려진 자극추구와 위험회피 기질을 선정하였고, 관련 문헌에 기반하여 가족기능성의 조절효과가 기질에 따라 다르게 나타날 것이라는 가설을 설정하였다. 대상자는 서울과 경기에 거주하는 만 12세~18세 청소년들 중 스마트폰 중독에 문제가 있다고 자가보고 하였으며, 스마트폰 중독 척도에서도 기준점을 넘는 경우 등록되었다. 총 147명 청소년(남 87명, 여 60명)의 기질, 스마트폰 중독, 가족기능성의 하위차원인 가족적응성 및 가족응집성 자료가 분석에 활용되었다. 청소년의 기질과 스마트폰 중독 간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자극추구 기질과 위험회피 기질 모두 스마트폰 중독과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청소년의 기질이 스마트폰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가족기능성의 조절 효과를 검증하였다. 결과로는, 자극추구 기질은 스마트폰 중독에 있어 주효과를 나타냈으나 가족기능성의 두 하위 차원인 가족적응성과 가족응집성 각각과 상호작용 효과를 나타내지 않았다. 반면, 위험회피 기질은 스마트폰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주효과뿐 아니라 가족적응성과 가족응집성 모두와 유의한 상호작용효과를 나타내었다. 조절의 양상을 세부 분석한 결과, 위험회피기질의 스마트폰 중독에서의 정적 영향은 가족적응성이 융통과 혼돈의 수준 그리고 가족응집성이 연결과 밀착의 수준에 있을 때에만 유의한 반면, 가족적응성이 구조와 경직의 수준, 가족응집성이 분리와 이탈의 수준에 있을 때는 유의하지 않았다. 연구를 통해, 자극추구와 위험회피 기질이 청소년 스마트폰 중독에 취약한 기질임을 재확인할 수 있었고, 가족적응성과 가족응집성이 높은 상태에서만 기질이 청소년 중독에 미치는 영향이 유효했고 이러한 조절 현상은 자극추구가 아닌 위험회피 기질에서만 발견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examines the moderation of family functioning in the effect of adolescent temperament on smartphone addiction. Methods: Adolescents identified as exhibiting smartphone overuse were eligible for this study, and 147 adolescents (87 males and 60 females, age M=14.42 years old) completed questionnaires measuring novelty seeking (NS) and harm avoidance (HA) temperaments, family functioning, and smartphone addiction. Results: Both NS and HA were found to have positive effects on adolescent smartphone addiction. The interaction effects between HA and each of the two family functioning variables (family adaptability and family cohesion) on adolescent smartphone addiction were significant, while the interaction effects between NS and family functioning variables were not significant. Subsequent analyses for clarifying the interaction patterns demonstrated that adolescents with high HA were found to be more likely than adolescents with low HA to become addicted to smartphones if their family’s adaptability and cohesion were each in flexible and chaotic levels and in connected and enmeshed levels. Conclusions: This study reconfirmed the importance of NS and HA temperament in adolescent smartphone addiction, and further illuminating that malleability of temperament from the influence of family on its effect on smartphone addiction differs depending on the type of temperament.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결과 및 해석
Ⅳ. 논의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최아름(A-Ruem Choi),김현수(Hyun-Soo Kim). (2021).청소년의 기질과 스마트폰 중독의 관계에서 가족기능성의 조절효과. 가족과 가족치료(구 한국가족치료학회지), 29 (2), 343-358

MLA

최아름(A-Ruem Choi),김현수(Hyun-Soo Kim). "청소년의 기질과 스마트폰 중독의 관계에서 가족기능성의 조절효과." 가족과 가족치료(구 한국가족치료학회지), 29.2(2021): 343-35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