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디지털 미술치료 적용을 위한 미술치료사의 디지털 매체 체험 연구

이용수 829

영문명
A Phenomenological Study on the Potential and Applicability of Digital Art Therapy Based on the Lived Experiences of Digital Media of Art Therapists
발행기관
한국미술치료학회
저자명
손창배(Shon, Chag_Bea) 정여주(Jeong, Yeo-Ju)
간행물 정보
『미술치료연구』제28권 제3호, 607~634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심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06.30
6,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미술치료사의 디지털 매체 체험의 구성요소와 구조를 살펴보고 그 의미를 파악함으로써, 디지털 미술치료의 적용 가능성을 탐구하는 데 있다. 연구 참여자는 미술치료사 5명으로 주 2회, 10회기, 회기당 90분의 디지털 미술치료 프로그램에 참여하였다. 자료 분석은 Colaizzi(1978)의 현상학적 체험연구 방법을 따랐다. 연구 결과 체험의 구조는 ‘안정적인 치료 환경의 조성’, ‘매체 탐색 및 조작 능력의 습득’, ‘디지털 매체의 치료적 촉진성’, ‘디지털 매체의 치료적 제한성’, ‘디지털 매체의 기능과 치료 목적의 적합성’, ‘디지털 매체 적용의 상호보완적 확장 및 개발의 필요’로 드러났다. 체험의 의미는 ‘디지털 미술치료의 준비요소’, ‘디지털 미술치료의 치료적 특성’, ‘디지털 미술치료의 보완적 측면’으로 도출되었다. 체험의 구조와 의미를 바탕으로 파악된 디지털 미술치료의 적용 가능성은 안정적인 치료 환경과 능숙한 매체 조작 능력을 전제 조건으로, 목적과 대상에 적합한 디지털 매체의 적용은 내담자의 창의적 표현을 촉진하는 치료적 매개 요인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디지털 미술치료 적용에 관한 경험과 이해에 도움이 되며, 디지털 미술치료 적용 가능성의 토대를 마련했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potential and applicability of digital art therapy by examining the elements and structure and grasp the meanings of art therapists’ digital media experience based on the phenomenological research. Using typical case sampling, five art therapists who fitted the desired profile were selected to participate in this study. The digital art therapy program was conducted between October 1 and November 12, 2019, twice a week for 90 minutes per session, together with in-depth interviews. The data collected were analyzed according to Colaizzi’s(1978) method.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structure of experience was derived as “creation of a stable therapy environment,” “exploration of media and acquisition of media manipulation skills,” “therapeutic facilitation of digital media,” “therapeutic limitation of digital media,” “interaction between the functions of digital media and therapeutic objectives,” and “application of digital media and extension of their application”. Descriptions of the structure of experience were “preparations needed for digital art therapy,”, “therapeutic characteristics of digital art therapy,” and “complementary aspects of digital art therapy”. The potential and applicability of digital art therapy, identified based on the structure and meaning of the experience, are collectively a therapeutic mediating factor that promotes the creative expression of the client through the application of a stable treatment environment, skillful media manipulation, and digital media suitable for the purpose and target of therapy.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wo key ways; not only provides an experiential understanding of but also lays the foundation for the potential and applicability of digital art therapy.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손창배(Shon, Chag_Bea),정여주(Jeong, Yeo-Ju). (2021).디지털 미술치료 적용을 위한 미술치료사의 디지털 매체 체험 연구. 미술치료연구, 28 (3), 607-634

MLA

손창배(Shon, Chag_Bea),정여주(Jeong, Yeo-Ju). "디지털 미술치료 적용을 위한 미술치료사의 디지털 매체 체험 연구." 미술치료연구, 28.3(2021): 607-63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