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청소년의 자아존중감과 얼굴자극평가(FSA) 반응 특성의 관계

이용수 255

영문명
The Relationship Between Face Stimulus Assessment(FSA) Response and Self-Esteem
발행기관
한국미술치료학회
저자명
손옥경(Son, Ok-Kyung) 김갑숙(Kim, Gab-Sook)
간행물 정보
『미술치료연구』제28권 제3호, 717~740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심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06.30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청소년의 자아존중감과 얼굴자극평가(FSA)의 관계성을 알아보기 위해 자아존중감 수준에 따라 FSA 반응 특성의 차이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U시의 한 중학교 2, 3학년 학생 229명을 대상으로 검사를 실시하였다. 연구도구는 자아존중감 척도와 FSA 를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교차분석과 판별분석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자아존중감 정도에 따라 FSA 자극그림 1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인 변인은 ‘색칠 정도, 색의 적절성, 내포된 에너지, 논리성, 세부사항, 선의 질, 반복성, 공간 활용’이며 이 변인들이 자아존중감이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을 예측할 수 있는 판별력은 77.7%였다. 자극그림 2에서는 ‘색칠 정도, 색의 적절성, 내포된 에너지, 사실성, 발달단계, 선의 질, 반복성, 정서적 내용, 공간 활용’에서 차이가 있었으며 이 변인들의 판별력은 71.9%였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을 파악하는 기존의 자기보고식 척도와 면접을 보완해줄 수 있는 투사적 그림검사로 FSA가 임상현장에서 활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steem and the Face Stimulus Assessment (FSA) by analyzing the difference in characteristics of the FSA results in response to the level of adolescents’ self-esteem. The assessments were administered to 229 second- and third-grade middle school students in city U. A cross-tabulation test and discriminant analysis were conducted to estimate the characteristics of FSA responses by the degree of self-estee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In FSA stimulus drawing Ⅰ,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variables by the degree of self-esteem were “Prominence of Color,” “Color Fit,” “Implied Energy,” “Logic,” “Details of Object,” “Line Quality,” “Repetitiveness,” and “Space,” and the discriminant power of the variables was 77.7%. In FSA stimulus drawing Ⅱ, “Prominence of Color,” “Color Fit,” “Implied Energy,” “Realism,” “Development Level,” “Line Quality,” “Repetitiveness,” “Emotional Contents,” and “Spac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having 71.9% of the discriminant power. The findings show that the FSA can be used as a predictive tool to complement the limit of self-reported questionnaires to screen the extent of adolescents’ self-esteem.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손옥경(Son, Ok-Kyung),김갑숙(Kim, Gab-Sook). (2021).청소년의 자아존중감과 얼굴자극평가(FSA) 반응 특성의 관계. 미술치료연구, 28 (3), 717-740

MLA

손옥경(Son, Ok-Kyung),김갑숙(Kim, Gab-Sook). "청소년의 자아존중감과 얼굴자극평가(FSA) 반응 특성의 관계." 미술치료연구, 28.3(2021): 717-74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