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고려 말 조선 초 문인 지식층의 분운(分韻)에 대하여

이용수 80

영문명
A Study on Bun-un(分韻) of the Literati during the Late Goryeo-Early Joseon Period
발행기관
국문학회
저자명
심경호(SIM KYUNG HO)
간행물 정보
『국문학연구』제27호, 7~33쪽, 전체 27쪽
주제분류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3.05.31
6,0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근대 이전의 문인-지식인들은 시문을 통해서 지적 교류를 행하고 당파와 집단을 형성하였다. 본고는 고려 말 조선 초에 신흥 사대부들이 정치권력을 장악하면서 문학적 모임에서 분운을 사용한 예들을 살펴보았다. 분운은 지식층의 시회와 소집에서 상호 간의 유대와 작시 수련을 위해 매우 중시되었다. 한국에서는 그 관습이 대개 원나라 강점기의 고려 중엽에 발아하여 고려 말에 과거제가 정기적으로 실시되면서 문인-지식인 집단이 연속성을 지니면서 문화적, 정치적 세력을 구축하던 때에 극성하였다. 고려 중엽에는 과거에서 과부(科賦)가 매우 중시되어, 문인들이 즉석에서 평측 상간의 여러 운자들 활용하는 것을 평소 훈련해 두었으므로 분운의 즉석 창작이 가능한 문인-지식층이 성립하였다. 이제현이 신예의 전송연에서 이루어진 분운 연장의 시축에 서문을 쓴 것은 작시가 자유자재한 문인-지식층이 그 시기에 두텁게 존재하여, 문학과 정치의 장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기 시작했음을 알려주는 징표이다. 본고에서 다룬 내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고려 말 조선 초에는 외직으로 나가는 관료나 과거 후 귀근하는 유생에게 전별연을 베풀면서 분운 연장하는 일이 정착되었다. 이 분운의 방식은 조선후기까지 지속되었다. (2) 고려 말에는 좌주를 위한 연회에서 분운 연장하는 사례가 있었다. 좌주문생의 명족회는 조선시대에 회시 제도가 정착되면서 축소되었다. (3) 고려 말에는 승려를 중심으로 분운 연장이 이루어진 사례가 많았다. 하지만 조선전기에 배불론이 대두되면서 승려를 중심으로 하는 분운 연장은 찾아볼 수 없게 되었다. (4) 고려 말, 조선 초에는 국왕을 호종하는 문신들이 국왕을 위해 송축한 시에 호종신들이 분운하는 사례가 있었다. 송축시를 이용한 분운 연장은 조선 전기 이후 찾아 볼 수 없다. (5) 고려 말, 조선 초에는 내외간상을 당하여 시묘 생활을 할 때 그것을 기념한 시를 만들고 또 분운 연장한 시를 시권으로 만들기도 하였다. 조선중기 이후로는 문인-지식인들이 시회와 시사를 갖는 일이 많아져, 후기에는 대단히 번성하였다. 이때에는 분운 구호와 분운 연장 등이 더욱 많았을 것이다. 분운은 문인-지식층이 문학 양식과 기호를 공유하는 장(場)의 의미가 문학 실질 내용보다 더욱 큰 의미를 지녔다.

영문 초록

It was frequently occurred that literati in pre-modern period wrote poems to broaden the intellectual interchange and to form political groups. This paper is to survey the cases that literati during the late Goryeo-early Joseon period performed Bun-un(分韻) at literary coteries activities. Bun-un was highly regarded as it was frequently perfomed at literary coteries activities. It was also useful to practice verse writing. In Korea, the Bun-un tradition began around the middle of Goryeo, and prevailed in the late Goryeo as Gwa-geo(科擧, civil service literary examination) started to be fulfilled regularly. It became very usual consequently that they exercised to rhyme out poems readily as Gwa-bu(科賦) was highly valued at Gwa-geo, and as a result groups that could write and enjoy poems using Bun-un were naturally formed. The preface composed by Lee Jehyeon(李齊賢) for Si-chuk(詩軸, a roll of pomes) of Bun-un Yeon-jang(分韻聯章) suggests that not a few such groups existed at that time and they played a important part in political and literary activities as well. To summarize this paper is the same as follows. (1) In the late Goryeo-early Joseon period, to perform Bun-un Yeon-jang at farewell parties for those who went local government posts or returned home after finishing Gwa-geo, was regularized and it lasted until the late Joseon period. (2) In the late Goryeo period, there were cases that Bun-un Yeon-jang was performed at parties for Jwa-ju(座主, examiner), but Myeongjokhoe(名簇會) by Jwa-ju and Mun-saeng(門生, pupil) began to decrease as Huesi(會試) system was established in Joseon dynasty. (3) In the late Goryeo period, there were also cases that Bun-un Yeon-jang was performed by Buddhist monks, but these cases disappeared as religious oppression for Buddism began at the beginnig of Joseon dynasty. (4) In the late Goryeo-early Joseon period, there were cases that government officials wrote poems using Bun-un keeping harmony with poems in praise for kings, but these cases disappeared since early Joseon period. (5) In the late Goryeo-early Joseon period, there were also cases that one edited a collection of poems or of Bun-un Yeon-jang while visiting the tombs of his father or mother since he or she had been dead. From the middle of Joseon dynasty, literati had lots of chances to exercise Bun-un as literary coteries activities increased, and it remarkably flourished in the late Joseon dynasty. It is assumed that there would be lots of cases of Bun-un Gu-ho(口呼) and Yeon-jang at that period. It is notable that literary coteries activities practicing Bun-un had lots of meaning more than they appeared.

목차

1. 머리말
2. 시회 및 소집에서의 문자 유희와 분운
3. 고려 말 조선 초 문인 지식인 집단의 형성과 분운
4. 맺는 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심경호(SIM KYUNG HO). (2013).고려 말 조선 초 문인 지식층의 분운(分韻)에 대하여. 국문학연구, (27), 7-33

MLA

심경호(SIM KYUNG HO). "고려 말 조선 초 문인 지식층의 분운(分韻)에 대하여." 국문학연구, .27(2013): 7-3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