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조선후기 시가 속의 여성 인물 형상(1)

이용수 285

영문명
The Figures of the Female Characters in the Poetry of the Late Choseon (1)
발행기관
국문학회
저자명
조해숙(Cho, Haesug)
간행물 정보
『국문학연구』제27호, 55~85쪽, 전체 31쪽
주제분류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3.05.31
6,5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문학과 사회사의 관련 양상을 논할 때, 조선후기의 서사지향 가사 작품들은 적절한 논의 대상이다. 본고는 조선후기 가사 속에 새롭고 다양한 인물이 등장하고 있는 점에 주목하고, 특히 여성 인물의 형상을 담은 작품들을 분석해 그 양상과 의미를 살폈다. 주된 분석 대상은 <용부가>, ‘복선화음가’ 계열 가사, <덴동어미화전가>, <노처녀가>, <신가전>의 주인공 여성들이다. 작품 속에 형상화된 여성 인물들은 결혼과 관련하여 고난과 위기를 겪고 이를 극복하거나 이로부터 일탈하는 과정을 거쳐 상벌의 결말에 이른다. 이러한 여성 인물의 현실 모습을 바탕으로 당대 가사 향유층이 추구한 이상과 욕망을 논할 수 있다. 향유층은 부(富)와 노동이라는 현실 요소에 대해 양면적 태도를 보이며, 삶의 태도 면에서 공동체 내에서 안정과 정착 문제를 자주 제기하고 삶의 주체적 책임을 강조한 운명론 내지 분수론을 역설하였다. 후기가사 작품들에서 여성 인물이 부각되고 유형화하는 현상은 그 자체만으로 주목할 만하다. 인물 중심 가사작품들의 서사적 요소는 소설의 그것과는 다른 기능과 성격을 지닌다. 소설의 독자가 인물의 전형성을 전제하고서 작품을 수용하는 반면, 가사의 독자는 인물의 현실 요소와 현실성을 이해하거나 공감하면서 작품을 수용한다. 인물 중심 가사는 전통적 시가양식이 고정된 틀에 머무르지 않고 조선후기 현실이 요구하는 변화에 대응한 문학적 사례로서 의미를 지닌다.

영문 초록

This paper aims to investigate the aspect of the relation between literature and social history, with focusing on the new and various characters in the narrative-oriented gasa texts of the Late Choseon. Main targets to analyze are the female characters in YongBuGa(용부가), BokSeonHwaEumGa(복선화음가), DenDongEoMiHwaJeonGa(덴동어미화전가), NoCheoNyeoGa(노처녀가), SinGaJeon(신가전). The females in the texts experience troubles and crises related with each one s marriage, go through channels to overcome or depart from it, and arrive at the end of reward and punishment. Based on it, I can interpret the ideal and the desire of gasa s enjoying group of those days. The enjoying group showed an ambivalent attitude about the reality elements such as wealthy and labor, raised the problem of stability and settlement in a community, and emphasized the responsibility of the independent life to follow the fortunes and to know one s place. The phenomenon itself that female characters stood out in the late gasa is worth noticing. The narrative elements in the texts of the character-oriented gasa have different functions and qualities than what are in the works of novel do. The readers of novel appreciate a work based upon the premise of typicality, but the readers of gasa appreciate a work to understand and empathize the realistic elements and the reality of the character. The character-oriented gasa is a good literary example that a traditional poetry form didn t stay at an immobilized frame but respond to the changes required by the real society.

목차

1. 서론
2. 가사 속 여성 인물의 현실
3. 가사 속 여성 인물의 욕망
4. 마무리 : 여성 인물 형상화 방식의 특징과 그 의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조해숙(Cho, Haesug). (2013).조선후기 시가 속의 여성 인물 형상(1). 국문학연구, (27), 55-85

MLA

조해숙(Cho, Haesug). "조선후기 시가 속의 여성 인물 형상(1)." 국문학연구, .27(2013): 55-8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