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지역문화권의 유산으로서 <정읍사>와정읍의 문화사적 위상

이용수 89

영문명
Jeongeupsa and Jeongeup s cultural and historical statusas a legacy of the local cultural sphere
발행기관
국문학회
저자명
서철원(Seo, Cheolwon)
간행물 정보
『국문학연구』제40호, 5~32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11.30
6,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글을 통해 <정읍사>와 정읍 지역문화권의 관계를 살피고, 해당 작품과 지역의 문화사적 위상을 조명하고자 한다. <정읍사>의 형성이 백제 시대부터인지, 고려 시대 이후인지는 확실하지 않다. 그러나 이 작품 제목을 소개하고 있는 『고려사』․「악지」의 「삼국속악」 조에 보이는 다른 백제가요 역시 절반 이상이 후기 신라 이후의 것들이다. 따라서 「삼국속악」 조만을 근거로 <정읍사>의 형성 연대를 백제로 끌어올릴 수는 없다. 그보다는 이들 백제가요에 나타난 지역성, 여성화자와 애정 주제 등의 특징에 주목해야 한다. 이는 백제가요가 고려속요와 공유하고 있는 것들로서, 신라 향가의 수도권 중심, 남성화자, 종교적 지향과는 대조적이다. 비단 <정읍사>뿐 아니라, 「삼국속악」 조의 백제가요 자체가 향가와는 대조되는 나름의 전통을 수립하여 고려속요에 물려준 것이었다. 정읍 지역에서 <정읍사>가 형성된 문화사적 기반으로, 석탑과 고분군을 통해 확인되는 그 역량을 되새길 필요가 있다. 정읍에는 현존 백제 양식 석탑 37기 가운데 5기가 남아 있는데, 단일 지역으로 최다이다. 시기상으로도 11~14세기에 고루 나타나 있어, 무신 집권기 즈음까지도 정읍이 ‘백제’라는 문화적 동질성을 지속하고 있었음을 보인다. 그리고 다수의 고분군에 반영된 마한 문화의 잔재를 통해, 정읍의 문화적 정체성이 마한과 백제에 두루 걸쳐 있음을 추정할 수 있다. 따라서 이제 <정읍사>의 창작 시기에 대한 논쟁을 벗어나, 백제문화권의 중추였던 정읍 지역의 문화적 유산으로서 그 정체성에 더 주목할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Through this article, I want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Jeongeupsa and Jeongeup s local culture, and to shed light on its works and the cultural and historical status of the area. It is not certain when Jeongeupsa is formed, whether Baekje or Goryeo. However, other Baekje pieces of Goryeo Dynasty that introduce this work are also more than half of them after the Unified Silla Period. Therefore, the date of formation of Jeongeupsa cannot be regarded as Baekje solely based on it. Rather, we should pay attention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locality, female writers and the themes of love shown in these Baekje books. These are the things that Baekjeyo shares with the Goryeosokyo, in contrast to Silla Hyanga s central, masculine and religious orientation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In addition to Jeongeupsa, the Baekje Kingdom of the Three Kingdoms passed on its own tradition of contrasting with its flavor to the Goryeosokyo. As the foundation of Jeongeupsa in Jeongeup area, stone pagodas and ancient tombs need to be reconsidered. Five of the 37 existing Baekje-style stone pagodas remain in Jeongeup, the largest single area. It also appears evenly in the 11th and 14th centuries, revealing that Jeongeup was continuing the homogeneity of Baekje until this time. And through the remnants of Mahan culture reflected in many ancient tombs, you can see that Jeongeup s cultural identity spans Mahan and Baekje. Now beyond the debate over the creation period of Jeongeupsa, we need to pay more attention to its identity as a cultural heritage in Jeongeup.

목차

Ⅰ. 문제 제기
Ⅱ. 백제문화권과 고려 속요
Ⅲ. 정읍의 문화사적 위상
Ⅳ. <정읍사>의 가치와 속요의 현장
Ⅴ. 요약과 전망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서철원(Seo, Cheolwon). (2019).지역문화권의 유산으로서 <정읍사>와정읍의 문화사적 위상. 국문학연구, (40), 5-32

MLA

서철원(Seo, Cheolwon). "지역문화권의 유산으로서 <정읍사>와정읍의 문화사적 위상." 국문학연구, .40(2019): 5-3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