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설화에 나타난 조선시대 무관의 형상과 그 의미

이용수 19

영문명
A Study on the imagery of the military officer in the Joson dynasty
발행기관
국문학회
저자명
정재민(Jaemin Jung)
간행물 정보
『국문학연구』제40호, 113~137쪽, 전체 25쪽
주제분류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11.30
5,8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조선은 성리학을 지배이념으로 삼아 문치주의 혹은 숭문주의 정책을 추진했던 사회였다. 이러한 정치적, 사회적, 문화적 체제 아래 무관들은 양반층의 일원임에도 불구하고 문인들과 차별되는 삶을 강요받아 왔다. 이러한 문존무비의 사회풍조 속에서 설화 전승자들은 조선시대 무관을 장부, 의협, 감사자, 명관, 선비의 형상으로 인식했다. 장부로서의 형상은 주로 무인의 태생적 기질이나 성향과 관련이 깊은 반면에 의협, 감사자, 명관 및 선비의 형상은 현실세계 속에서의 성취와 연관된다. 이들 중에서 의협과 감사자, 명관의 형상은 주로 시대적 상황 변화에 의해 선택적으로 부각되는 공적 면모에 해당하며, 이는 현실적 지향점으로서 의미를 가진다. 그에 비해 선비의 형상은 문무반 모두에게 공통되는 보편적 면모이자 이념적 지향점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이들 다섯 가지 무관의 형상은 문치주의 시대를 살았던 조선시대 무관들의 태생적, 현실적, 이념적 면모를 잘 보여준다. 또한 현실적 지향적으로서 의협, 감사자, 명관의 형상을 갖추었다는 점은 곧 문무반 사이의 차별을 극복함으로써 궁극적으로 무관의 위상을 정립하고 명실상부한 사회적 존재로 자리매김하는 데 크게 기여했다고 평가된다. 나아가 의협․명관․선비의 형상은 조선시대에 들어와 비로소 나타났다는 점에서 이전시대에 비해 진일보한 국면이라는 의미를 가진다. 아울러, 다섯 가지의 형상들은 문인과 무인 사이에 발생하는 충돌과 대립, 화해와 조화를 이해하는 데 있어 좋은 단서를 제공한다. 문관과 무관 사이의 대립은 표면적으로는 문무차별에 대한 저항과 좌절을 의미하지만, 이면적으로는 장부-명관의 형상 혹은 사적-공적 인식의 대결로 해석된다. 물론 이들의 대결은 명관의 형상과 공적 인식의 승리로 귀결되며, 이는 무관들 역시 공적 존재로서의 명관의 면모를 우선시했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영문 초록

The Joson dynasty had been employed a policy of civilian government. It was based on the ground of the Confucianism. In this way, the Joson dynasty had been discriminated against military officer, in favor of civil official. That was the representative policy that civil service had the superiority to military service. The military officer in the Joson dynasty had been recognized the five imagery which is the manly man, chivalry, patriotic martyr, good governor, virtuous man. The imagery of the manly man mainly had been expressed in his boyhood. The imagery of the chivalry, patriotic martyr, good governor had been revealed selectively after going into government service. On the other hand, the imagery of the virtuous man was the general and ideological point. Therefore these five imagery have showed the internal aspect that is naturally, practically, ideologically distinctive quality. And then it is rated these five imagery because they have been situated the military officer s position among the yangban, the two upper classes of the Joson dynasty. Additionally, these five imagery provide a criterion which have interpreted the confrontation between the military officer and civil official.

목차

Ⅰ. 들어가는 말
Ⅱ. 설화에 나타난 조선시대 무관의 형상
Ⅲ. 무관의 형상에 함의된 사회문화적 의미
Ⅳ. 나오는 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재민(Jaemin Jung). (2019).설화에 나타난 조선시대 무관의 형상과 그 의미. 국문학연구, (40), 113-137

MLA

정재민(Jaemin Jung). "설화에 나타난 조선시대 무관의 형상과 그 의미." 국문학연구, .40(2019): 113-13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