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학부모 정체성과 교사 정체성의 갈등과 협상: 초등학생 자녀를 둔 초등학교 여성 교사를 중심으로

이용수 656

영문명
A Study on Identity Learning of Female Elementary School Teachers with Elementary School Children: Focus on the Conflict and Negotiation between Parent Identity and Teacher Identity
발행기관
한국학부모학회
저자명
이지환(Lee, Jee Hwan) 강대중(Kang, Dae Joong)
간행물 정보
『학부모연구』제8권 제2호, 45~66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04.30
5,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초등학생 자녀를 둔 초등학교 여성 교사의 역할 정체성 형성과정에서 드러나는 학습 양상을 이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초등학생 자녀를 둔 초등 여성 교사 7명을 연구참여자로 선정하여 학부모가 되기 전 교사의 역할 정체성이 드러나는 장면과 기존의 교사 정체성이 새로 구성되어가는 학부모 정체성과 갈등을 일으키는 장면을 질적 인터뷰를 통해 수집, 분석하였다. 연구참여자들이 학부모가 되기 전 ‘지식 전달자’, ‘교실 질서 관리자’, ‘초등교육 이론 전문가’라는 역할 정체성을 가지고 있었다. 연구참여자들은 자녀 양육과 학부모 역할을 경험하면서 ‘학부모의 학교 공부 지도’, ‘학부모 상담 시 교사의 조언’, ‘학부모들이 기대하는 선생님의 역할’, ‘교사가 기대하는 학부모 역할’이라는 네 가지 갈등 상황을 겪으며 학부모이자 동시에 교사인 정체성을 재구성하는 학습을 하였다. 기존의 교사 정체성과 새로운 학부모 정체성 간의 조정을 통한 정체성 학습 과정에는 세 가지 양상이 특징적이었다. 첫째, 연구참여자들은 교사 정체성과 학부모 정체성을 분리된 것으로 인식한다. 둘째, 교사로서 기대하는 공교육 지향점과 학부모로서 기대하는 그것 사이에 간극이 있다. 셋째, 학부모와 교사 사이에 교직 전문성에 대한 이해의 차이가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learning patterns revealed in the process of forming the identities of female elementary school teachers who also have children in elementary schools. A researcher selected seven female elementary school teachers who also have elementary school children as research participants. The researcher collected and analyzed through qualitative interviews the scenes where the teacher s role identity was revealed before becoming a parent, and the scenes that caused conflict with the parent s identity in which the existing teacher identity was newly formed. As participants were raising children and experiencing parent role, they faced four conflicting situations: ‘parents school study guidance’, ‘teacher’s advice in parental counseling’, ‘parents expectation of teacher’, and ‘teacher s expectation of parental role’. They learned to reconstruct their identity as both parents and teachers. Three aspects were characteristic of the identity learning process through the coordination between the existing teacher identity and the parent identity. First, research participants perceive the identity of teachers and parents as separate. Second, there is a gap between the direction of public education expected as a teacher and what s expected as a parent. Third, there is a difference in understanding of teaching professionalism between parents and teachers.

목차

Ⅰ. 문제제기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지환(Lee, Jee Hwan),강대중(Kang, Dae Joong). (2021).학부모 정체성과 교사 정체성의 갈등과 협상: 초등학생 자녀를 둔 초등학교 여성 교사를 중심으로. 학부모연구, 8 (2), 45-66

MLA

이지환(Lee, Jee Hwan),강대중(Kang, Dae Joong). "학부모 정체성과 교사 정체성의 갈등과 협상: 초등학생 자녀를 둔 초등학교 여성 교사를 중심으로." 학부모연구, 8.2(2021): 45-6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