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농업인 교육 프로그램 분석

이용수 12

영문명
An Analysis of Farmer Education Programs
발행기관
한국농산업교육학회
저자명
김진모(Jin-Mo Kim) 김진군(Jin-Kun Kim) 마상진(Sang-Jin Ma,) 전영욱(Young-Wook Jeon) 이진화(Jin-Hwa Lee) 주현미(Hyun-Mi
간행물 정보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제39권 제1호, 99~116쪽, 전체 1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7.03.31
4,9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는 농업인을 대상으로 한 교육 프로그램의 내용 및 방법을 살펴봄으로써 향후 농업인 교육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었다. 농업인 교육프로그램 분석을 위한 개념적 틀은 관련문헌에 대한 고찰과 수집 자료에 대한 귀납적 분석을 통해 개발되었다. 그 결과, 8가지의 기관 유형, 17가지의 프로그램 내용 영역, 5가지의 교육방법, 3가지의 교육인원, 3가지의 교육기간이 도출되었다. 분석대상은 총 173개 기관의 2,483개 프로그램이었다. 이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우리나라의 농업인 교육은 국가기관 및 기술센터 등의 정부기관 주도로 이루어지고 있었다. 둘째, 재배/사육기술, 생활개선 및 농촌건강관리, 정보획득 등의 내용이 주요 교육내용으로 다루어지고 있었다. 셋째, 각 기관 유형별로 비중 있게 다루는 주요 교육내용에 있어서 다소 차이가 있었다. 넷째, 농업인 교육프로그램에서 활용되는 교육방법은 대체적으로 강의에 편중되어 있었다. 다섯째, 교육인원에 있어 중규모와 대규모 인원의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았으며, 1대 1 개별 교육은 전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1일 혹은 3일 이상 이루어지는 교육의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았으며, 2일 동안 이루어지는 교육의 비중은 비교적 낮은 편이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analyze the farmer education programs in Korea, and to get implications for further program development. The framework for the analysis was developed through extensive literature review and an inductive method. As a result, eight types of organizations for farmer education, seventeen content domains of programs, five instructional methods, three categories of program participant size, and three categories of program period were derived. The subjects of analysis were 2,483 programs of 173 farmer education organizations.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1) Farmer education programs of Korea were led by government agencies such as national organizations and extension agencies. 2) The content domains of cultivating/raising techniques, improvement of life quality and farmer health care, and information acquisition were relatively highly dealt with. 3) Main contents which were dealt with by each type of farmer education organization were differentiated. 4) In terms of instructional method, a lecture had the highest portion in most contents domains. 5) The portion of the middle size and large size of participants was relatively higher than others. And there are no programs which used one by one teaching method. 6) The portion of programs for 1 day or 3days was relatively higher, and the portion of programs for 2 days was lower.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진모(Jin-Mo Kim),김진군(Jin-Kun Kim),마상진(Sang-Jin Ma,),전영욱(Young-Wook Jeon),이진화(Jin-Hwa Lee),주현미(Hyun-Mi. (2007).농업인 교육 프로그램 분석.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39 (1), 99-116

MLA

김진모(Jin-Mo Kim),김진군(Jin-Kun Kim),마상진(Sang-Jin Ma,),전영욱(Young-Wook Jeon),이진화(Jin-Hwa Lee),주현미(Hyun-Mi. "농업인 교육 프로그램 분석."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39.1(2007): 99-11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