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도농간 교육격차 해소를 위한 농촌지역 유형별 교육혁신 추진과제 탐색

이용수 36

영문명
Exploring Action Plan for the Education Innovation by types of Rural Areas for Releasing Education Gaps between Urban and Rural Areas
발행기관
한국농산업교육학회
저자명
나승일(Seung-Il Na) 정철영(Chyul-Young Jyung) 구자억(Ja-Oek Gu) 박행모(Haeng-Mo Park) 장호순(Ho-Soon Chang) 김진구(Jin
간행물 정보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제39권 제1호, 35~57쪽, 전체 2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7.03.31
5,5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는 교육혁신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토대로 농촌지역 교육혁신 성공요소를 도출하고, 농촌의 지역특성을 고려하여 도농간 교육격차 해소를 위한 농촌지역 유형별 추진과제를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었다. 연구목적 달성을 위해 문헌고찰 및 사례연구를 실시하였고, 연구결과의 타당성 확보를 위해 전문가협의회를 실시하였다. 농촌지역 교육혁신 성공요소는 마을공부방 운영 등 26개가 최종적으로 도출되었다. 또한 농촌지역 교육혁신모형을 개발하여 목표와 전략을 수립하고, 이를 기초로 농촌지역 유형별 추진과제를 제시하였다. 농촌지역 교육혁신의 비전은 “도농간 교육격차 해소를 위한 교육혁신 실현으로 살고 싶은 농촌지역 구현”으로 설정하고, 이를 달성하기 위한 목표는 도시수준의 교육기회 제공, 농촌형 수월성 교육추구, 지역 인적자원개발로 설정하였다. 농촌지역 유형별 중점적으로 추진해야 할 과제는 발전 농촌지역은 마을 공부방 운영 및 학습도우미 지원, 중간수준 농촌지역은 교육환경 개선, 장학금 지원 및 다양한 교육기회 제공, 저개발 농촌지역은 기존 지원 유지, 적극적 학습 지원 및 교원의 근무여건 개선, 도농복합 농촌지역에서는 교통편의 제공, 학습기회 개선 및 학부모의 교육참여 유도 등이 선정되었다. 그리고 농촌지역 유형별 중점 추진과제에 대한 단계별 로드맵과 이를 적용하기 위한 정책적 제언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derive success factors and explore actions plan for the education innovation of rural areas for releasing education gaps between urban and rural areas. For the purpose, the researcher carried out literature reviews and case analysis were conducted, and experts council were executed. As a result, 26 success factors for the education innovation of rural area were derived. And, this study suggested the education innovation model of rural area including goals and strategies to identify action plan for the education innovation by types of rural areas. The vision of the education innovation model was making the place pleasant to live in by doing education innovation for releasing education gaps between urban and rural areas. The goals of the education innovation model were to provide urban-level educational opportunities, to pursue rural-customized education for excellency and to develope local human resources. This study identified several core tasks corresponding to each rural area: additional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village study-rooms and support for learning assistant system for highly-developed rural areas; improvement of educational condition and provision of scholarship and various educational opportunities for middle-developed rural areas; maintenance of existing support, active learning-support and improvement of teachers working conditions for lowly-developed rural areas; provision of traffic convenience, improvement of learning opportunities and promotion of parents educational participation for urban-rural complex areas. Moreover, this study suggested roadmap according to action plan divided by types of rural areas, and political proposal for effective actualization of that.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농촌지역 유형별 교육혁신 추진과제
Ⅳ.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나승일(Seung-Il Na),정철영(Chyul-Young Jyung),구자억(Ja-Oek Gu),박행모(Haeng-Mo Park),장호순(Ho-Soon Chang),김진구(Jin. (2007).도농간 교육격차 해소를 위한 농촌지역 유형별 교육혁신 추진과제 탐색.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39 (1), 35-57

MLA

나승일(Seung-Il Na),정철영(Chyul-Young Jyung),구자억(Ja-Oek Gu),박행모(Haeng-Mo Park),장호순(Ho-Soon Chang),김진구(Jin. "도농간 교육격차 해소를 위한 농촌지역 유형별 교육혁신 추진과제 탐색."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39.1(2007): 35-5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