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반성적 글쓰기를 통해 보는 미술과 교육실습

이용수 26

영문명
Student teaching experiences in reflective journals
발행기관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저자명
손지현(Jihyun Sohn)
간행물 정보
『미술교육연구논총』제22권, 155~172쪽, 전체 1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7.12.31
4,9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미술교사 교육에서 반성의 개념을 살펴보고 예비교사의 교육실습에서 반성적 사고를 촉진하기 위한 방법으로 반성적 글쓰기를 제안한다. 교육실습에서 반성적 글쓰기는 교육목표에 수반된 각종 전략과 교수 기술에 관한 문제점, 성공적 측면, 학생들과의 상호작용, 예비교사 자신의 지식 등 인지적, 심리적, 사회적인 것까지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한다. 연구자는 예비교사의 반성적 글쓰기를 통하여 미술교육의 현황, 문제점을 질적 연구 방법으로 살펴보았다. 본 연구에 참가한 예비교사들은 교육실습에서 미술교육에 대한 관점을 반성적 글쓰기를 통해 미술교육에 관한 관점, 학교 현장에서 요구되는 미술교사에 대한 기대, 학생과의 상호작용을 통한 수업기술 체득의 중요성 등 좀 더 현실적인 미술 교육관을 갖게 되었다. 또한 예비교사들은 수업은 단순히 지식을 전달하는 것의 문제가 아니라 교사의 교육관, 철학, 지식, 수업기술, 학생과의 신뢰와 애정을 바탕으로 하는 상호작용이며 학생의 흥미와 관심이 고려되어야 함을 깨닫게 되었다. 교육실습에서의 반성적 글쓰기와 사고의 습관은 미술교육과 자신의 교육관에 대한 철학적 고찰과 아울러 그동안 배운 이론과 미술 실기능력을 학교 현장에 활용하는 미래의 실천으로 이어지기 위해 유용하게 활용될 것이다.

영문 초록

Student teaching experiences in reflective journalsJihyun Sohn(Mokwon University)There are growing body of research on reflection in preservice art education. Critical reflection in teaching is thinking about educational matters that involve not only practical issues, but moral, political, philosophical, and technical issues. The trials and errors in student teaching experience form the foundation upon which preservice teachers ideas about teaching can be built, tested and refined. The thought and value systems sharpened as part of the reflective process play a key role in determining future professional conduct. I used reflective writing for my student teachers in their field experiences. Student teachers are asked to write a journal that include knowledge of teaching, personal experiences, beliefs, description of learners, lesson content, areas of congruence and conflict with lesson plans, techniques used for planning, management, and instruction. As preservice teachers gain maturity and skill as reflective writers, they can begin to address increasingly more complex aspects of their performance, the nature progress made in solving problems, and the effects in their actions and classroom conditions.The journal writing enhances the reflective process because the process provides a means by which the preservice teachers can organize critical analysis, while the written document offers me an opportunity to respond to my preservice teachers thinking about thinking. I recommend reflective writing in student teaching and visual culture study to relate real life experience to art in preservice art education.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목차

Ⅰ. 서론
Ⅱ. 반성적 글쓰기와 미술 교사 교육
Ⅲ. 연구 방법
Ⅳ. 반성적 글쓰기로 보는 미술과 교육실습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손지현(Jihyun Sohn). (2007).반성적 글쓰기를 통해 보는 미술과 교육실습. 미술교육연구논총, 22 , 155-172

MLA

손지현(Jihyun Sohn). "반성적 글쓰기를 통해 보는 미술과 교육실습." 미술교육연구논총, 22.(2007): 155-17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