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화분분석으로 본 신라 왕경 식생사와 문화경관

이용수 666

영문명
Reconstructing the Vegetation History and Cultural Landscape of the Silla Capital Using Pollen Analysis
발행기관
한국고고학회
저자명
안소현(Ahn Sohyeon)
간행물 정보
『한국고고학보』제117집, 71~103쪽, 전체 33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12.31
6,7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실체에 가까운 고대 도성의 경관 및 생활경관을 복원하기 위해서는 토목·건축물에 대한 논의뿐만 아니라, 녹지 공간 즉 경관 구성요소로서의 식생이 어떠한 모습으로 어디에 위치했는지 밝히고 논의하는 일이 중요하다. 본고에서는 경주지역 유적 5곳의 화분분석을 중심으로 한 다양한 식물자료를 통해 삼국시대~통일신라시대 식생 변천사를 생육장소에 주목하여 밝히고, 이러한 녹지는 고대인에 있어 어떠한 공간이었는지 파악하고자 했다. 검토 결과, 신라 왕경 구성요소로서의 식생과 그 문화경관적 의미를 다음과 같이 정리하였다. AD 5~6세기대 남천 및 북천의 하천변에는 느티나무·느릅나무류가 주된 하안림이 분포하였고, 이러한 숲의 확대 및 쇠퇴는 인위적 영향에 의한 것일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신라 왕경 내 대지 조성을 위한 6세기 후반 무렵 저지대개발로 인해 경주분지 중앙부 북천과 남천 사이의 습지식생이 쇠퇴한 양상이 확인되었다. 통일신라시대로 이행되면서 경주분지 내 생활공간 주변은 왕경 개발 범위의 확대 및 인구증가로 인해 초지 면적이 증대하고 상대적으로 숲의 감소를 초래하였다. 한편, 산지에서는 참나무류 중심의 극상림이 쇠퇴하고 소나무 이차림이증가하였다. 또한 대외 교역의 산물로서 외래식물의 존재가 밝혀졌으며, 특히 통일신라시대에 접어들어 새로운 재배식물이 출현하고 한층 다양화되는 양상을 확인하였다. 고대 조경식물에 대한 실증적인 자료가 확보되어, 신라 왕경에서 향유된 다양한 식물문화를 짐작할 수 있다.

영문 초록

In order to reconstruct the landscape of an ancient capital city and its living landscape as close as possible to how it may have actually been, it is necessary to identify its green space (by identifying how the vegetation within the landscape looked like, where it was located, and what it meant to the ancient people who lived there), in addition to understanding aspects of its civil engineering and architecture. This research reveals the vegetation change that took place at five archaeological sites in Gyeongju during the time from the Three Kingdoms to the Unified Silla Period, with a focus on the places where vegetation grew, by examining the findings of various plant remains, with focus on pollen analyses. According to the analysis, the cultural meaning of the vegetation which formed part of the landscape of the ancient capital city of Silla is as follows. During the period from the fifth to the sixth century AD, a riparian forest dominated by Zelkova-Ulmus was distributed along the banks of the Nam-cheon and Buk-cheon Rivers; the findings of the research suggest the possibility that the expansion and decline of this forest may have resulted from certain human activities. Evidence from this research suggests that the extinction of the wetland vegetation in the central area of the Gyeongju Basin in the late sixth century may have been due to the development of lowland areas for land required by the capital city. From the Unified Silla Period, the areas peripheral to settlements within the Gyeongju Basin appear to have witnessed a relative decrease in forest lands, as a result of the expansion of city development and an increase in its population; this is evidenced by the increase in the proportion of grassland. Meanwhile, in mountainous areas, the Quercus-Pinus climax forest declined while secondary pine forests increased. In addition, this research discovered the presence of ancient exotic plants that had been imported through the trade with foreign countries, especially newly cultivated plants which began to appear and become diversified during the Unified Silla Period. The empirical data of this research, which was produced by collecting and classifying landscaping plants of the time, can provide a better resource based on which the variety of the plant culture of the capital city of Silla may be assumed.

목차

Ⅰ. 머리말
Ⅱ. 문화경관 복원과 화분분석 방법론
Ⅲ. 조사지역 및 방법
Ⅳ. 분석 결과
Ⅴ. 신라 왕경 식생사와 문화경관
Ⅵ.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안소현(Ahn Sohyeon). (2020).화분분석으로 본 신라 왕경 식생사와 문화경관. 한국고고학보, 117 , 71-103

MLA

안소현(Ahn Sohyeon). "화분분석으로 본 신라 왕경 식생사와 문화경관." 한국고고학보, 117.(2020): 71-10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