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남한지역 세형동검의 출현과 전개

이용수 1008

영문명
The Slender Bronze Daggers of South Korea: Emergence and Change
발행기관
한국고고학회
저자명
吳江原(Oh Kangwon)
간행물 정보
『한국고고학보』제117집, 7~34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12.31
6,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세형동검의 고유한 속성은 결입부와 절대이다. 이러한 점에서 주로 요령~서북한 등지에 분포하고 있는 노야묘-윤가촌식동검과 양동리식동검은 세형동검과 구분되는 별개의 동검 유형에 속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세형동검은 후기 비파형동검을 직접적인 조형으로 하여 창의된 새로운 유형의 동검이다. 여기서는 이러한 점들을 고려하여, 세형동검을 검신 형태를 제1기준으로 하여 호선형(A형), 미호선형(B형), 사선형(C형), 직선형(D 형)으로, 척능 길이를 제2기준으로 하여 결입부까지를 I식, 그 이하까지를 II식으로, 좁은 폭의 혈구와 다선 혈조가 있는 것에 한해 ‘′’로 세분류하였다. 이렇게 하여 분류되는 형식으로는 A형, B형(BI, BII식), C형(CI, CII 식), D형(DI, DII식, DII′식)이 있다. 남한 지역 세형동검은 전체 7개 단계로 획기되는데, 제I단계(기원전 350~300년)는 A형 세형동검, 조문경, 점토대토기, 환상파수토기 등이 조합하는 단계이고, 마지막 제VII단계(기원후 100~150년)는 DII′식 세형동검, 장경철단검, 쇠스랑, 닻형철기, 궐수형철기, 궐수장식표비, 철복 등이 새로이 공반하는 단계이다. 세형동검은 기원전 4세기 중엽 정가와자유형의 비주류 차상위집단과 요동 남부 지역의 일부 집단이 결합하여 해로를 통해 한반도 중남부 지역으로 유입된 것을 계기로 창의된 동검이다. 단계별 각 형식의 수량과 점유 비율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할 때, A형~DII′식이 순차적으로 변천된다. 이 가운데 B형과 C형 세형동검은 장기 지속되었다는 점에서 전형 세형동검으로 규정할 수 있다.

영문 초록

The intrinsic properties of slender bronze daggers are their side groove and knot. In this respect, it is possible to observe that Laoyemiao-Yunjiacun type bronze daggers and Yangdong-ri type bronze daggers, mainly distributed from the Liaoning region to the northwestern region of North Korea, can be distinguished from slender bronze daggers, and regarded as a separate category of bronze dagger. The slender bronze dagger was a direct development from the mandolin-shaped bronze dagger. Taking the above points into consideration, slender bronze daggers were subdivided into those with crescent-shaped lines (Type A), soft crescent-shaped lines (Type B), oblique lines (Type C), and straight lines (Type D), based on the dagger shape as the primary standard of classification. Those daggers with narrow blood grooves and multiple blood grooves were further classified, according to the length of the ridge line, into Type I (extending to the side groove) and Type II (extending to the bottom part). Thus, the types classified comprise the following: Type A, Type B (BI and BII), Type C (CI and CII), and Type D (DI, DII, and DII′). The slender bronze dagger in South Korea evolved over a total of seven stages. Stage I (350-300 BC) is characterized by the assemblage of the type-A slender bronze dagger, bronze mirror with coarse linear designs, attached-rim vessel, ring handle pottery. Stage VII (100-150 AD) is characterized by the newly appearing assemblage of the DII slender bronze dagger, long tang iron dagger, pitchfork, anchor-shaped iron implement, spiral pattern ornament horse bit, iron cauldron, etc. The slender bronze dagger emerged out of the combination of the non-mainstream secondary groups of the Zhengjiawazi culture pattern and some groups in the southern Liaotung region, which spread to the central and southern regions of the Korean Peninsula through the sea route. The comprehensive consideration of the quantity and occupancy ratio of each type at each stage makes it possible to identify the sequential transition from Type A to Type DII′. Among them, Type B and Type C slender bronze daggers can be regarded as exemplary slender bronze daggers in that they were in use for a long time.

목차

Ⅰ. 머리말
Ⅱ. 개념과 형식 분류
Ⅲ. 획기와 연대
Ⅳ. 출현과 전개
Ⅴ.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吳江原(Oh Kangwon). (2020).남한지역 세형동검의 출현과 전개. 한국고고학보, 117 , 7-34

MLA

吳江原(Oh Kangwon). "남한지역 세형동검의 출현과 전개." 한국고고학보, 117.(2020): 7-3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