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동아시아 중원식대장식구의 전개와 의의

이용수 349

영문명
The Changing Nature and Significance of the Chinese-style Belt Ornament in East Asia
발행기관
한국고고학회
저자명
金跳咏 (Kim Doyoung)
간행물 정보
『한국고고학보』제117집, 35~70쪽, 전체 36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12.31
7,1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글에서는 동아시아에 분포하는 중원식대장식구를 분석하고 그 전개 과정과 의의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중원식대장식구는 형태(교구공, 연금, 크기, 문양)와 제작기술을 조합하여 총 8개의 형식으로 분류할 수있다. 각 형식은 총 4단계로 정리할 수 있으며 각 단계는 공반된 기년명 자료로 보아 3세기 말에서 4세기 중엽으로 비정된다. 중원식대장식구는 後漢부터 三國時代까지 點在한 중원의 대장식구 요소에 馬蹄形打出鉸具의 요소가 가미되면서 성립한다. 전국을 통일한 西晉王室에서 이전까지 제작된 대장식구의 여러 요소를 통합함으로써 의도적으로 창출한 것이 중원식대장식구였다. 이후 활발하게 제작된 중원식대장식구는 중원은 물론 중국 동북부지역, 한반도와 일본열도까지 확산된다. 西晉과 東晉을 중심으로 제작된 중원식대장식구는 이후 前秦, 前燕 등 5호16국에서 모방 제작되기도 하고한반도와 일본열도에서는 중원에서 이입된 대장식구를 계기로 독자적인 대장식구 문화가 전개되어 나간다. 큰 형태적 차이 없이 고도로 규격화된 중원식대장식구가 지역마다 서로 다른 의미를 지닌 채 이입되거나 모방되고 나아가 삼국, 왜의 대장식구 문화에 큰 영향을 끼쳤다는 사실이야말로 동아시아에서 중원식대장식구가 지닌 본질적인 의의라 할 수 있다.

영문 초록

In this study, the Chinese-style belt ornament found distributed throughout East Asia was analyzed and its development process and significance reviewed. The Chinese-style belt ornament can be classified into a total of eight types by combining form and manufacturing technology, and each type is divided into four stages which lasted from the end of the third century to the middle of the fourth century. The Chinese-style belt ornament was formed by combining the elements of belt ornaments, including those decorated with horse-hoof-shaped patterns in repousse, which existed from Later Han to Three Kingdoms. It is believed to have been intentionally created in the Western Jin Dynasty, which achieved unification. From that time onwards, the Chinese- style belt ornament, which was actively produced, spread not only throughout China’s Central Region but also to Northeastern China, the Korean Peninsula, and the Japanese Archipelago. Produced within the territories of the Western Jin Dynasty and the Eastern Jin Dynasty, the Chinese-style belt ornament was imitated by the sixteen kingdoms, such as Former Qin and Former Yan. In the Korean Peninsula and the Japanese Archipelago, where Chinese- style belts were introduced, an independent culture of belt-ornaments developed. The highly standardized Chinese-style belt ornament, which lacked significant difference in shape, was transferred or imitated with different meanings from region to region and had a great impact on the Three Kingdoms and the belt-ornament culture of Japan. This is the essential significance of the Chinese-style belt-ornament in East Asia.

목차

Ⅰ. 머리말
Ⅱ. 연구사 및 문제 제기
Ⅲ. 속성 검토와 형식분류
Ⅳ. 단계설정과 연대 비정
Ⅴ. 전개와 의의
Ⅵ.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金跳咏,(Kim Doyoung). (2020).동아시아 중원식대장식구의 전개와 의의. 한국고고학보, 117 , 35-70

MLA

金跳咏,(Kim Doyoung). "동아시아 중원식대장식구의 전개와 의의." 한국고고학보, 117.(2020): 35-7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