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미술 감상·비평 교육의 교수법 비교 연구

이용수 41

영문명
A Comparative Study on Instructional Methods of Art Appreciation and Art Criticism
발행기관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저자명
손지현(Sohn, Ji-Hyun)
간행물 정보
『미술교육연구논총』제33권, 93~120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2.12.31
6,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펠드먼의 미술 비평 모델을 비롯한 ‘단계’로서의 비평 교수법과 ‘탐구’로서의 미술 비평 교수법을 검토하고자 한다. 미술 비평의 기초인 기술, 해석, 평가의 요소들이 교수학습 상황에서 다양하게 적용된 연구들을 비교해 본다. 나아가 교실에서 수행되는 미술 비평 수업이 언어적 학습 활동으로 단순화되는 문제점을 지적하고 듀이와일련의 미학적 접근을 기초로 지각과 사고력 중심의 탐구로 보는 관점들을 살펴본다. 이를 토대로 우리의 미술 비평 교수법 개발과 실천으로 연계되기 위한 고려해야 할 점을 제안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Art criticism is advocated for many reasons, among them that art criticism may act as aids for visual literacy; that art criticism may encourage the exercise of cognitive and affective process for providing systematic approaches for artworks. Although art education literature available on the subject is expansive, it is limited to art criticism model of Feldman in Korea. However, its weaknesses of it as a formalist approach mainly to concern for visual elements and analysis are pointed out. This study addresses review of literature related to art criticism model of Feldman and other models adapting Feldman’s consisting description,analysis, interpretation, and evaluation of artworks. Among the difficulties that might be ascribed to existing approaches is the lack of an explicit foundation upon which to build critical inquiry rather than just implementing talking and writing about artworks. Grounding art criticism upon pertinent field of inquiry, such as aesthetics and perception, could prepare students to defend critical decision and justify positions held, as well as a frame of reference for critical methods. Aesthetic approaches to art criticism methodology could be inquiry by Dewey and others. Phenomenological methods as aesthetic inquiry could be involving five components: receptiveness, orienting, bracketing, interpretive analysis,and synthesis. Geahigan proposes critical inquiry by translating Dewy’s idea on aesthetic experience into classroom instruction rather than art criticism as a procedure. Personal response activities, concept and skill activities, and student research activities are labeled for strategies teachers can employ to stimulate critical reflection. Finally this article addresses implications for Korean art educators to conceptualize art criticism pedagogy based on art criticism and education and to implement into classroom practice.

목차

Ⅰ. 서 론
Ⅱ. 단계 중심의 미술 비평 교수법
Ⅲ. 탐구중심의 미술 비평 교수법
Ⅳ.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손지현(Sohn, Ji-Hyun). (2012).미술 감상·비평 교육의 교수법 비교 연구. 미술교육연구논총, 33 , 93-120

MLA

손지현(Sohn, Ji-Hyun). "미술 감상·비평 교육의 교수법 비교 연구." 미술교육연구논총, 33.(2012): 93-12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