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삼원법(三遠法)에 대한 재고찰

이용수 28

영문명
Re-consideration about concept of Samwonbub(三遠法): based on middle level school art textbook
발행기관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저자명
장지성(Jang, Ji-Seong)
간행물 정보
『미술교육연구논총』제33권, 221~239쪽, 전체 19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2.12.31
5,0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삼원법은 중국 송대 화가 곽희가 제시한 산수화론 중의 하나로 심원(深遠), 고원(高遠), 평원(平遠)을 합쳐서 이르는 말이다. 일반적으로 서양의 원근법과 비견하여 동양의 원근법으로 여러 중등학교 미술 교과서에서 자주 제시되고 있다. 이는 서양의 합리적이고 과학적인 사고가 만들어낸 투시도법과 동양의 관념적이고 직관적인 삼원법을좋은 비교 대상으로 보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삼원법은 엄격히 얘기하면 원근법은 아니다. 삼원법은 자연의 대표적인 표상으로 존중되고, 그려져 온 ‘산수’를 어떻게 바라보고, 이를 표현해야 하는가에 대한 시각적 접근 태도이지, 멀고 가까운 거리를 표현하는 방법적인 문제는 아니다. 또한 삼원법에 대해서 어느 교과서는 삼원을 각각의 독립된 시점으로 표현하고 있으나, 또 다른 교과서는 하나의 화면에 여러 시점이 함께나타나는 ‘산점투시’로 설명하고 있어 혼란스러운 부분이 있다. 이 글은 이러한 교과서에서 제시되고 있는 삼원법에 대한 모호한 설명을 재검토하였다. 삼원법이 우리가 실제로 산수화를 그리거나 감상하는 데 있어서 주요한 도구가 되는지, 그리고 삼원법에대해서 최초로 언급한 곽희의 ‘임천고치’에서 삼원법은 어떤 의미로 제시되었는지에 대해 검토하였다. 이에, 먼저 미술 교과서에서 제시되고 있는 삼원법에 대한 언급들을찾아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화론에서 삼원법을 살펴 그 의미를 분명히 하였다. 이를 통해 삼원법이 실재 작품에서 어떻게 분석되고, 산수화의 다양한 구도 안에서 어떻게 적용할 수 있는지도 살펴볼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서 삼원법은 첫째, 미술사적으로 곽희의 산수화론에 한정해서 보아야 하고, 둘째, 실기적인 측면에서 삼원법은 산수화의 절대적인 시점이 아니며, 셋째, 투시 원근법과 비교하여 볼 때 삼원법은 화면상에 거리를 나타내는 원근법이 아님을 밝혔다.

영문 초록

Generally, Samwonbub that was called Oriental Three Perspective in comparison with Western Perspective is presented widely in art text books. Western perspective, which was made by scientific thoughts and Oriental perspective which was made by abstract and intuitive thoughts seemed to be a good comparison. However, strictly speaking, ‘Samwonbub’ is not a form of perspective. Samwonbub is an attitude of how should we watch ‘Sansu(山水)’,which had being respected and drawn as representative image of nature, not just a landscape. So, it is not just a methodical matter about expression of distance. Also, in views of Samwonbub in art textbooks, some of them was expressing Samwonbub as separate view points, but others are explaining that,it have all three perspectives in one scene, which is called ‘Sanjeomtushi (Point-Scattering Penetrate)’ and some times it make us confused. This writing is trying to reexamine the vague explain about Samwonbub which is being presented in art textbook. I want to take a scrupulous examination about whether Samwonbub is really a beneficial tool when we draw or appreciate ‘landscape painting(山水畵)’. Also, I studied how Samwonbub can be analyzed in real artworks, and whether it is possible to apply diverse compositions and visual points in landscape painting. I believe, through this type of discussion, Samwonbub,which is an artistic-theoretical concept that is mentioned quite abstractly,will get a chance to make it stand in the better cognition and consideration.

목차

Ⅰ. 머리말
Ⅱ. 미술 교과서에서의 삼원법
Ⅲ. 『임천고치』에서 언급된 삼원법의 의미
Ⅳ. 삼원법에 대한 의미 규정
Ⅴ. 맺음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장지성(Jang, Ji-Seong). (2012).삼원법(三遠法)에 대한 재고찰. 미술교육연구논총, 33 , 221-239

MLA

장지성(Jang, Ji-Seong). "삼원법(三遠法)에 대한 재고찰." 미술교육연구논총, 33.(2012): 221-23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