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시간에 대한 인식과 미술교육
이용수 31
- 영문명
- Awareness and Art Education for Time
- 발행기관
-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 저자명
- 이화식(Lee, Hwa-Sik)
- 간행물 정보
- 『미술교육연구논총』제35권, 189~219쪽, 전체 3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09.30
6,5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시간에 대한 이론과 미술 작품 속에 반영된 시간을 분석하여 미술교육의폭과 깊이를 넓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미술은 삶을 표현하는 것이다. 삶은 시간 속에 존재한다. 그러므로 미술은 시간을 표현하고 있다. 미술에 대한 깊은 이해는 시간에 대한 이해를 필수적으로 요구한다. 그래서 시간에 대한 관점을 절대적 시간, 상대적 시간, 관계적 시간으로 구분하였다. 먼저 절대적 시간을 설명하기 위하여 아리스토텔레스와 뉴턴의 철학을 빌려 제시하였고, 상대적 시간은 라이프니츠와 아인슈타인의철학을 빌려 제시하였으며, 관계적 시간은 베르그송과 하이데거의 철학을 빌려 제시하였다. 그리고 미술에서 시간의 표현은 평면과 입체로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절대적 시간의 시각적 표현은 인상주의와 대지미술을 제시하였고, 상대적 시간은 미래주의와 키네틱아트로 제시하였으며, 관계적 시간의 표현은 표현주의와 인터액티브 아트로 제시하여 시간 인식과 시간의 시각적 표현의 연계성을 제시하였다. 이와 같은 시간에 대한이론과 표현을 제시하고 그 연관성을 밝히는 것은 미술교육에서 시간에 대한 통합적접근을 유도할 수 있기 때문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broaden the range and increase the depth of art education by analyzing theories of time and the time reflected on artworks. Art expresses life; life exists within time and space. Therefore, art expresses time. An in-depth understanding of art requisitely demands an understanding of time. This study divided the perspectives of time into absolute time,relative time, and erelational time. The philosophies of Aristoteles and I. Newton were quoted and presented to explain absolute time; the philosophies of G. W. Leibniz and A. Einstein to explain relative time; and the philosophies of H. Bergson and M. Heidegger to explain relational time. Moreover, expression of time in art was divided into plane and solid. Visual expression of absolute time was presented with Impressionism and Mobile Art. Relative time with Futurism and Kinetic Art; and relational time with Expressionism and Interactive Art, displaying connectivity between time recognition and visual expression of time. Presenting such theories and expressions of time and clarifying its connectivity can lead to an integrated approach of time in art education.
목차
Ⅰ. 서 론
Ⅱ. 시간에 대한 인식
Ⅲ. 시간에 대한 시각적 표현
Ⅳ. 시간에 대한 융합 교육
Ⅴ.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자기 이름을 활용하여 변주한 종이판화」 프로그램
- 미술교육에서 사회적 틈(interstice)으로서 테크놀로지 역할 재고
- 교과교육으로서의 미술교육, 수업을 위한 방법론적 접근
- 미술과 주도 융합인재교육 교수·학습 계획안 개발 연구
- 영화를 통해 본 학교폭력문화의 실상과 대안
- 감상수업맵(Appreciation Lesson Map)에 따른 초등학교 학년군별 미술감상수업모형의 탐색
- 존 듀이의 『경험으로서의 예술』에 나타난 반즈의 예술교육 사상
- 시간에 대한 인식과 미술교육
- 조형교육의 관점에서 본 유희적(遊戱的) 회화표현 연구
- 한국화의 구도원리와 초등미술의 수묵화 필수학습요소의 적절성
- 미술관 교육을 위한 미적 교육의 재조명
- 초등학교 학생의 인지양식에 따른 관찰표현의 차이
-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정당성 제고에 관한 소론
- 예술 교과 중심 융합인재교육(STEAM) 실천 방안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