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성리학의 ‘감성’ 개념에 대한 고찰

이용수 34

영문명
A Study on the Concept of ‘Sensibility’ in Neo-Confucianism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철학연구소
저자명
최복희(Choi Bok Hee)
간행물 정보
『철학논집』제63호, 125~146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인문학 > 철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11.30
5,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논문에서 다루는 ‘감성’은 성리학에서는 일반적으로 사용하지 않는 용어이다. 주요한 범주는 아니지만, 성리학에서 마음의 작용에 대해 설명할 때 외부세계에 대한 감각과 수용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 해명한 내용을 정리해서 소개하고자한다. 필자는 성리학자들의 학문의 목적에 따라 마음에 대한 설명에 차이가 있다는 점을지적하였다. 마음의 내면과 외면 수양에 대한 논쟁의 시기에 있었던 주희에게 있어서 마음 이론은 근본에 대한 내면 수양과 실천에 관련된 일상적 마음 수양을 융합적으로 보아야 한다는 수양론을 설명하는 중요한 기반이었다. 그는 마음의 미발과이발 수양은 상호보완적인 것이고 상호영향을 주는 것이므로, 정적 수양과 동적 수양을 경(敬)의 마음가짐을 통해 일관적이고 통일적인 것으로 융합시켰다. 이황은 도덕적 본성의 실질적 영향력을 강화하고자 하는 수양론을 목적으로 했기때문에, 능동적이고 적극적인 본성의 발현을 논증하려 했다. 그에게 있어서 현실적인 마음은 도덕적 본성의 지배를 받는다는 것, 본성을 잘 발현하도록 하는 수양이실제적인 효과가 있다는 것을 밝히려고 하였다. 엄밀히 말하면 이황은 본성의 발(發)은 발현, 기질의 발(發)은 촉발로 보았다고 할 수 있다. 발(發)의 의미에서 ‘발현’을 논증했던 이황과 달리, 이이는 모든 마음의 작용을 기(氣)가 외부세계와의 접촉에 반응하는 ‘촉발’로 보았다. 그의 학문의 목적은 세계와인간의 현실적 존재양태에 따른 도덕의 실현이었기 때문에, 도덕적 본성에 국한되지 않은 마음의 탐구를 경험론적으로 접근하였다. 성리학자들의 견해는 그들의 학문의 목적에 따라 전개되었지만, 그 과정에서 모두마음에 대한 탐구가 중요한 관건이었고, 마음의 탐구에 있어서 발(發), 즉 감성을어떻게 해석하는가에서 중요한 차이를 드러냈다. 이에, 감성은 성리학에서 주목했던 범주가 아니었지만, 필자는 그에 상응하는 개념과 해석이 그들 사상의 핵심을 이루었다고 평가한다.

영문 초록

The ‘sensibility’ covered in this paper is a term not commonly used in Neo-Confucianism. Although it is not a major category, I would like to introduce an explanation of how the senses and acceptance of the outside world are achieved when explaining the actions of the mind in Neo-Confucianism. I pointed out that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explanation of the mind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e Neo-Confucian scholars studies. For Zhu Xi, who was in the period of debate about inner and outer culture, Mind theory was an important basis for the theory of internal discipline and practical discipline. He fused static and dynamic discipline into something consistent and unified through Jing. Lee Hwang argued for a cult to strengthen the practical influence of moral nature. So, He tried to prove the manifestation of active and active nature. For him, the realistic mind is governed by moral nature, and the discipline that makes it manifest itself well has practical effect. Strictly speaking, Lee Hwang saw the bal(發) of nature as expression and the bal(發) of temperament as triggering. Unlike Lee Hwang, who argued for expression in the sense of bal(發), Lee Yi saw all the actions of the mind as trigger in which Gi(氣) reacts to contact with the outside world. Since the purpose of his studies was the realization of morality in accordance with the realistic forms of existence of the world and human beings, he took an empirical approach to the exploration of the mind not limited to its moral nature. The views of the Neo-Confucianists were developed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eir studies, but in the process, the exploration of the mind was all an important key, and revealed an important difference in how to interpret the sensibility, in the search of the mind. Thus, although sensibility was not a category that was noted in Neo-Confucianism, I evaluates that the corresponding concepts and interpretations have formed the core of their ideas.

목차

I. 서론
II. 성리학에서 감성 관련 범주
III. 성리학의 감성론
IV. 맺음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최복희(Choi Bok Hee). (2020).성리학의 ‘감성’ 개념에 대한 고찰. 철학논집, (63), 125-146

MLA

최복희(Choi Bok Hee). "성리학의 ‘감성’ 개념에 대한 고찰." 철학논집, .63(2020): 125-14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