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허스트의 전·후기 교육과정이론
이용수 52
- 영문명
- The Nature of School Subjects in Connection with Life Implied in P. H. Hirst s Curriculum Theory
- 발행기관
- 한국도덕교육학회
- 저자명
- 박채형(Chae-Hyeong Park)
- 간행물 정보
- 『도덕교육연구』도덕교육연구 제17권 제2호, 53~76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6.02.28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허스트는 1965년 이후로 지식의 형식을 통해서 이론적 이성을 개발해야 한다는 주장을 줄기차게 내세워 왔다. 그런데 그는 1980년대에 접어들면서 자신의 전기 교육과정이론이 담고 있는 그러한 주장에 대하여 비판적인 태도를 취하기 시작한다. 사회적 실제를 통해서 실제적 이성을 개발해야 한다는 주장으로 요약되는 그의 후기 교육과정이론은 바로 그 비판적 태도의 최종적인 산물로 받아들일 수 있다. 그의 후기 교육과정이론이 등장하는 이러한 맥락에서 비롯된 사태이겠지만, 그것은 전기 교육과정이론에 대한 대안으로 해석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으며, 그의 전후기 교육과정이론에 등장하는 상이한 개념은 그러한 경향을 한층 더 부추기고 있다. 그러나 그의 이론체계 내에서 사회적 실제와 실제적 이성은 그것과 짝을 이루는 지식의 형식과 이론적 이성이 삶에서 차지하는 실제적 중요성을 부각시키는 데에 활용되는 개념적 도구 이외에 다른 것일 수 없다. 그리하여 허스트의 후기 교육과정이론은 전기 교육과정이론에 녹아 있는 교과와 삶의 관련을 일깨워 주기 위하여 구축된 이론적 방안으로 해석될 수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icate the nature of school subjects in connection with life implied in Hirst s curriculum theory. His curriculum theory was born under the spell of conceptual connection between school subjects and rational mind in 1960 s. But, in 1980 s, new points of view have arisen in education. Especially, good life has been found in satisfaction of our developing needs and interests in relation to the network of developing social practices available which our individual lives make sense. So, the spell has firmly reasserted itself. In these circumstance, he made shift from seeing education as initiation into forms of knowledge to seeing it as initiation into social practices. Since then his latter works have been regarded as alternative to the first.
However, forms of knowledge are not different things to social practices in his theoretical system. Those two are the same things to describe the public tradition as contents of education in different aspects. The former describes the public tradition in aspect of media, and the latter describes it in life. In this respect, the latter has to be identified as the device to show us the logical status of the former in connection with life. Therefore, it is never allowed that his latter works has been suggested as an alternative to the first. Hirst makes present his later work only to show the nature of school subjects in connection with life embodied in the first period work. After all, with the connection, his curriculum theory requires us to devote ourselves in schooling the school subjects for good life.
목차
Ⅰ. 서론
Ⅱ. 허스트의 전기 교육과정이론
Ⅲ. 허스트의 후기 교육과정이론
Ⅳ. 교과의 이상으로서의 올바른 삶
Ⅴ.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피아노 교육에서의 인지적 부하 관리 전략
- 중등음악교사의 국악 수업 경험: 서양음악을 전공한 음악교사들의 국악 수업 실천
- 음악교과 플라스틱 재질의 악기 사용에 대한 초등교사의 인식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