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플라톤 변증법의 도덕교육적 함의

이용수 68

영문명
Implications of Plato s Dialectic on Moral Education
발행기관
한국도덕교육학회
저자명
홍윤경(Yun-Kyung Hong)
간행물 정보
『도덕교육연구』도덕교육연구 제18권 제1호, 47~66쪽, 전체 2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6.08.31
5,2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플라톤 변증법에 깃들어 있는 ‘신비’는 합리성과 무관한 것이 아니라 오히려 학문으로 대표되는 합리성을 뛰어넘는 것이다. 이러한 ‘신비’는 플라톤 변증법의 모태인 소크라테스의 대화술에 드러나 있는 ‘미지의 마음’에 비추어 볼 때에 올바르게 이해될 수 있다. 대화술을 통해서 추구하는 개별덕목, 이를테면 정의의 이데아는 인식대상인 동시에 인식주체로 해석될 수 있으며 따라서 그것은, 통념상의 지식을 기준으로 삼는 한, 알 수 없는 마음, 즉 ‘미지의 마음’으로 해석될 수 있다. 미지의 마음은 지식획득의 결과로 획득하는 인식의 대상이며, 그와 동시에 이후의 지식획득을 가능케 하는 인식의 주관적 조건으로서 일체의 합리성의 토대가 된다. 대화술을 계승한 플라톤 변증법은 미지의 마음을 심어주는 최상의 교육방법이기도 하고 미지의 마음을 획득함으로써 얻는 사고방식, 즉 최상의 교육내용이 되기도 한다. 그러나 ‘미지의 마음’의 측면을 계승한 플라톤 변증법은 아리스토텔레스와 헤겔에 의하여 부당한 평가를 받게 되었고, 그에 따라 미지의 마음을 전달하는 활동으로서의 교육의 중요성도 제대로 부각되지 못하였다. 지식획득을 통해서 얻는 미지의 마음은, 도덕적인 것과 비도덕적인 것을 구분하도록 하며, 도덕적인 것을 열망하게 만든다는 점에서 도덕성의 원천이라고 말할 수 있다. 누스(Nous)라는 희랍적 개념은 도덕성의 원천으로서의 미지의 마음을 부각시킨다.

영문 초록

The Mystery involved in Plato s dialectic is not something that is not having to do with rationality. On the contrary, this mystery is to be properly interpreted in the light of Unknowable Mind revealed in Socratic conversation. The Idea of justice, which is to be defined through Socratic question and answer activity, is at once the object of knowing and knowing subject. Therefore, in the light of the common idea of knowledge, the Idea of justice is described as Unknowable Mind . Unknowable mind is the subjective condition of knowing, resulting from the acquisition of knowledge, as well as something that makes the obtaining of subsequent knowledge possible. Plato s dialectic is to be considered as the method of education in the sense of transmitting the Unknowable Mind . It is to be regarded as the content of education as the way of thinking which is obtained by acquiring the Unknowable Mind . As Plato s dialectic, keeping the Unknowable Mind involved in Socratic conversation, has been misunderstood by Aristotle and Hegel, the concept of education as the activity of transmitting the Unknowable Mind is not properly understood as well. The Unknowable Mind is the origin of morality in the sense of distinguishing what is moral and what is not, and making one desire eagerly the former. The Greek term Nous is representing the Unknowable Mind as the origin of morality.

목차

Ⅰ. 변증법의 ‘신비’
Ⅱ. 미지의 마음: 인식의 주관적 조건
Ⅲ. 교육의 내용과 방법으로서의 변증법
Ⅳ. 도덕성의 원천으로서의 미지의 마음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홍윤경(Yun-Kyung Hong). (2006).플라톤 변증법의 도덕교육적 함의. 도덕교육연구, 18 (1), 47-66

MLA

홍윤경(Yun-Kyung Hong). "플라톤 변증법의 도덕교육적 함의." 도덕교육연구, 18.1(2006): 47-6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