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뒤르껭의 인간, 사회, 교육

이용수 215

영문명
Human, Society and Education in E. Durkheim’s Thoughts
발행기관
한국도덕교육학회
저자명
지정민(Jeong-Min Chi)
간행물 정보
『도덕교육연구』도덕교육연구 제30권 제4호, 83~102쪽, 전체 2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12.31
5,2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뒤르껭의 사상은 사회학의 통상적 범위를 넘어서 인간본성에 관한 철학적 탐구로부터 시작된다. 인간본성의 이중성, 즉 감각과 이성의 안티노미를 규명하고자 하는 문제의식으로부터 출발하여 뒤르껭은 기존의 철학을 대치하는 새로운 사회학적 해답을 제시한다. 그가 보기에 사회는 인간본성의 한 축을 이루면서 인간다운 삶의 절대적 기준의 역할을 한다. 뒤르껭의 사회는 단순한 실증주의적 관점으로는 이해될 수 없는 선험적 측면을 가진다. 집단적 의식의 의미에 비추어 볼 때, 사회는 개인을 초월하는 절대적 기준이면서도 개인의 내면과 분리불가능한 표상이다. 이 점에서 뒤르껭과 칸트의 거리는 그다지 멀다고 할 수 없다. 즉, 뒤르껭의 사회의 개념은 이데아나 실재를 가정하는 형이상학적 관점과 충분히 양립할 수 있다. 또한 뒤르껭의 사회는 사회화의 동태적 과정, 즉 교육을 통하여 역동적으로 형성되는 인간의 실천행위의 총합에 해당한다. 이 점에 주목할 때, 뒤르껭은 칸트의 선험적 이념이 가지는 추상성을 살아있는 인간의 실천성을 강조함으로써 극복한다고 볼 수 있다. 특히 사회화의 중요한 기제로서 습관에 관한 뒤르껭의 강조는 현대의 아동 중심의 교육관과는 달리, 교육의 가치는 개인 그 너머에 있다는 사실을 교육의 과정에서 구체적으로 확인하도록 만들어준다. 다만, 뒤르껭은 경험적 법칙을 발견하는 것을 사회학자로서 자신의 제1의 임무로 생각하였으며, 사회과학적 연구를 통하여 인간에 관한 가장 정확한 이해가 가능하다고 보았다.

영문 초록

This paper deals with the question how Durkheim proposes the problem of antinomy in human nature and solves it by sociological perspective. His approach differs from Kant’s transcendent philosophy as well as the empirical monism and the idealist monism. For him, society is indeed the superior aspect of human nature, only by which individual can cultivate all their valuable capacities in moral, intellectual, religious realms. Criticizing the abstract idea of individual separated from concrete realities, Durkheim concludes that the socializing process itself provides both the cause of human antinomy and the answer to overcome it. Despite of the apparent repute of Durkheim to any transcendant idea, his concept of society seems to have somehow similar attributes with it, in the sense that collective consciousness puts itself as the absolute standard governing the whole individual minds. Furthermore, unlike Kant, Durkheim’s society can provide empirical foundation with the metaphysical concept of reality, because his society embraces all kind of human practices, thoughts, beliefs and norms throughout the history. Besides, according to him, the place of habit in moral education is emphasized to internalize the collective consciousness, while modern trend of child centered education overlooks its importance. Even in learning subjects at school, the intellectual habit plays its distinctive role.

목차

Ⅰ. 문제제기
Ⅱ. 인간 존재의 이중성 : Antinomy
Ⅲ. 개인과 사회
Ⅳ. 사회와 실재
Ⅴ. 교육학적 시사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지정민(Jeong-Min Chi). (2018).뒤르껭의 인간, 사회, 교육. 도덕교육연구, 30 (4), 83-102

MLA

지정민(Jeong-Min Chi). "뒤르껭의 인간, 사회, 교육." 도덕교육연구, 30.4(2018): 83-10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