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정신과 병동 우울장애 환자의 미술치료 사례연구: 상징 변화를 중심으로

이용수 1197

영문명
A Case Study on Art Therapy for a Patient with Depressive Disorder in the Psychiatric Ward: Focusing on Symbolic Change
발행기관
한국미술치료학회
저자명
김희령(Kim Hee Ryeong) 정여주(Chung Yeo Ju)
간행물 정보
『미술치료연구』제27권 제5호, 875~895쪽, 전체 2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심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10.10
5,3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정신과 병동 입원 환자를 대상으로 한 집단미술치료에서 환자의 작품 속 상징 변화를 통해 치료적 의미를 고찰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미술치료 회기를 통하여 관찰된 환자의 작품 내용 및 상징 변화를 바탕으로 사례를 연구하였으며, 색채, 선, 형태 등의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연구기관은 경기도 소재의 A 대학병원 정신과 입원 병동이며, 연구 대상자는 기관의 특수성으로 인해 가장 많은 회기에 꾸준히 참여하여 상징 변화를 고찰할 수 있는 우울장애 환자로 선정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초기 작품 속 상징에서 자신의 욕구에 대한 의지를 표현하였다가 현실을 부정하는 등 양가적인 감정을 표현하였으나, 변화되는 작품 속 상징에서 자기를 이해하면서 죄책감으로 고립된 상태에서 벗어나 시야를 확장시켰다. 또한 한정적인 색의 사용을 다양하게 활성화 시켰고, 초기에 떨리던 선도 힘 있고 뚜렷해졌다. 그리고 형태에 있어서도 반복적으로 보여 졌던 가족과의 갈등과 이상화된 자기 상징을 해체하고, 새로운 자기 상징으로 변화시켰다. 이와 같이 본 연구는 정신과 병동 집단미술치료를 경험한 우울장애 환자의 작품 속 상징의 변화를 분석한 결과 증세가 완화되면서 스스로 자기 상징을 변화시켰고, 그 과정을 통해 현실 인식 촉진이 되었으며 이를 통해 타인과 관계를 개선하는데 도움이 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examine the therapeutic meaning of symbolic changes in the artworks of patient facilitated through group art therapy for psychiatric ward inpatients. This research involved observing art therapy cases of symbolic changes and their effects in art therapy sessions and analyzing the symbolic changes expressed by the patient in terms of color, line, and shape. The research institution was a psychiatric ward at A University Hospital in Gyeonggi-do. The participant was selected due to being a patient with depressive disorder who could participate in the most sessions and consider the symbol changes due to the specificity of the institution. The participant expressed ambivalence, such as denying reality after expressing his preference for a desired symbol in the early artwork, but better understood himself based on the symbol in the changing artwork and expanded his view to look beyond isolation fueled by feelings of guilt. In addition, the participant activated the use of limited colors in a variety of ways, and the initial trembling lines were powerful and clear. In the shape, the conflict with the family and the idealized self-symbol that were repeatedly seen due to negative rumination were dismantled and changed into a new self-symbol. Given that, this research analyzed the changes in the self-symbol in the artworks of patient with depressive disorder who participated in group art therapy in a psychiatric ward, and through this process, the therapy appeared to promote reality awareness and helped improve the patient’s relationships with other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및 절차
Ⅲ. 회기별 진행 과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희령(Kim Hee Ryeong),정여주(Chung Yeo Ju). (2020).정신과 병동 우울장애 환자의 미술치료 사례연구: 상징 변화를 중심으로. 미술치료연구, 27 (5), 875-895

MLA

김희령(Kim Hee Ryeong),정여주(Chung Yeo Ju). "정신과 병동 우울장애 환자의 미술치료 사례연구: 상징 변화를 중심으로." 미술치료연구, 27.5(2020): 875-89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