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수어의 순차적 결합 구조 특성 탐색
이용수 223
- 영문명
-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Sequential Combination Structure of Korean Signs - Focused on the Seoul Data of the Korean Sign Language Corpus
- 발행기관
-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학회
- 저자명
- 이현화(Lee, Hyun-Hwa) 송미연(Song, Mi-Yeon) 홍성은(Hong, Sung-Eun) 이은영(Lee, Eun-Young) 강창욱(Kang, Chang-Wook)
- 간행물 정보
-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연구』제11권 제2호, 177~199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8.31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한국수어 말뭉치의 서울 지역 자료 중에서 합성어 주석을 마친 약 135분 분량의 수어를 대상으로 순차적 결합 구조를 분석하여 수어 합성어로 인식된 한국수어의 순차적 결합 구조의 특성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합성어로 인식된 한국수어의 순차적 결합 구조는 첫째, 형태·음운론적 규칙에 의한 ‘수어 합성어에서 나타나는 순차적 결합’, 둘째, 수어가 한국어에 대응되는 형태로 나타나 향후 수어 합성어로 받아들여질 여지가 있는 형태와 한국어를 풀이하는 형태로서 수어를 기준으로 했을 때 어휘가 아닌 구나 문장의 형태로 세분화 되는 ‘한국어 대응 또는 풀이 형태로 나타나는 수어의 순차적 결합’, 마지막으로 합성어에서 나타나는 형태·음운론적 변화가 관찰되지 않는 ‘관용표현으로 나타나는 순차적 결합’의 3개 유형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분석은 한국어와 한국수어 경계의 접촉으로 인해 발생하는 한국수어 합성어의 혼란을 방지하고 향후 합성어 연구의 기초 자료가 될 것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structure of sequential combined Korean signs by analyzing about 135 minutes of the Seoul data of the Korean Sign Language Corpus. According to the data, we are able to classify three types of sequential combined Korean signs. 1. sign compounds, which follow morpho-phonological rules, 2. signed utterances that appear in form of a sentence or phrase which follow the word order in korean or explain a Korean expression by signing the meaning of its sino-korean characters and are likely to become sign compounds in the future, 3. signed idiomatic expressions which do not follow the morpho-phonological rules of sign compounds. This analysis will prevent confusion of Korean Sign Language compounds which were caused because of language contact between Korean and Korean Sign Language. Our data can also serve as material for further Korean Sign Language compound studie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및 논의
Ⅳ. 요약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읽기이해에 관한 국내 연구 동향 및 읽기이해 검사도구 개발 방향성에 관한 연구: 2010년부터 2019년까지
- 한국수어의 순차적 결합 구조 특성 탐색
- ADHD아동의 사회적 관계성 증진을 위한 현실요법 집단미술치료 사례연구
- 의사소통장애를 위한 협력적 팀 접근에서 언어치료에 대한 인식 조사
- 국내 경계선 지적지능 학생의 언어 관련 연구동향 분석
- 난청학생의 성장 배경에 기초한 가정환경 및 의사소통 방법에 관한 연구
- 한국수어 예비 교원의 모의수업에서의 수어 교수 불안감 특성 분석
- 수어문학 평생교육 프로그램 참가자의 참여 경험과 개선 요구
- 일본 시청각장애인 현황과 지원 실태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The Effect of English Musicals on Young Learners’ English Proficiency and Self-Efficacy
- 생성형 AI 활용 영어수업에서 초등학생의 프롬프트 사용과 리터러시 특성 연구
- 2022개정 교육과정 기반 언어 기능 통합적 접근법이 6학년생의 영어 말하기 및 쓰기 능력에 미치는 영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