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북유럽 슬로이드 시스템의 교육적 함의

이용수 169

영문명
Educational Implications of Scandinavian Sloyd System
발행기관
한국기술교육학회
저자명
문대영(Daeyoung Moon)
간행물 정보
『한국기술교육학회지』제20권 제2호, 1~19쪽, 전체 19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08.31
5,0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슬로이드 시스템의 의미, 목표, 원리 및 방법, 구성에 대한 고찰을 통해 이에 담긴 교육적 의미를 탐색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의 결과로서 도출된 슬로이드 시스템의 교육적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스웨덴의 살로몬과 핀란드의 시그네이우스의 공동 작업으로 탄생한 북유럽 슬로이드 시스템의 궁극적인 목적은 온전한 인간의 형성에 있다. 슬로이드 시스템은 수작업을 위한 교육 체제가 아니라, 수작업을 통한 형성적 교육 체제로 이해해야 한다. 형성적 교육을 추구하는 슬로이드 시스템의 정신은 오늘날 학교 교육의 본질적 가치를 반추하는 준거가 될 수 있다. 둘째, 슬로이드 시스템 구성 원리의 핵심은 일하는 행위 자체를 즐기면서 일을 수행하도록 하는 데 있다. 88개의 실습 작업과 50개의 모형 시리즈는 아동이 흥미를 가지고 일을 할 수 있도록 변화와 다양성의 원리를 구현한 결과물이다. 다른 사람에게 도움이 되는 유용한 제품을 만드는 활동을 통해 일하는 과정을 더욱 즐길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이타심, 배려심, 자부심, 공감능력 등과 같은 교육적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셋째, 슬로이드 시스템의 주된 교육 방법은 시각과 촉각을 활용한 직관적 교육법이다. 오늘날 학교 교육에서 시각과 촉각을 활용한 직관적 교육법에 적합한 분야를 찾아 확산하고, 그 교육적 효과를 검증하는 노력이 요구된다. 넷째, 슬로이드 시스템에서 진정한 교사란 스스로를 온전한 교사로 느끼는 사람이며, 아동에 대하여 충분히 이해할 수 있는 교사다. 교사는 수업 중에 발생하는 모든 상황에서 무엇을, 언제, 어떻게 해야 하는가를 판단하고 결정할 수 있는 교육적 기지를 갖추어야 한다. 오늘날 교사 양성 과정에서 이러한 교육관과 역량을 기르기 위한 실천적 접근이 요구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iew the meanings, aims, principles, methods, and constructions of Scandinavian sloyd system and to find out educational implications.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ultimate goal of Scandinavian sloyd system that originated by Uno Cygnaeus and Otto Salomon is formation of sound human being. Sloyd system is not an educational system for handcraft but a means of formative education. The formative function of education can be the prime value of school education of nowadays. Second, the key principle of sloyd system construction is to instill a taste for and love of work. 88 exercises and 50 models are constructed to enhance students’ interest according to the principles of change and variety. Children are far more interested in making object when they know that others can use it. And this will foster in them a spirit of unselfishness, consideration for others, self-esteem, and sympathy. Third, the main method of sloyd system is teaching through the senses, especially touch and sight. The intuitive instruction should be diffused in school education of nowadays. Fourth, the true teacher in sloyd system can only be the person who feels himself as a teacher. Teachers should have educational tact that ability to judge and decide what, when and how to do it in class context. These view of teacher and roles of teacher should be reflected in teacher training course.

목차

Ⅰ. 서론
Ⅱ. 슬로이드 시스템 개요
Ⅲ. 슬로이드 시스템의 구성
Ⅳ. 교육적 함의
Ⅴ.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문대영(Daeyoung Moon). (2020).북유럽 슬로이드 시스템의 교육적 함의. 한국기술교육학회지, 20 (2), 1-19

MLA

문대영(Daeyoung Moon). "북유럽 슬로이드 시스템의 교육적 함의." 한국기술교육학회지, 20.2(2020): 1-1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