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기술교과 예비교사의 사물 인터넷 교육을 위한 ESP8266기반 체험 프로그램 개발

이용수 96

영문명
Development of ESP8266 Experience Program for Internet of Things Education of Technology Subject for Pre-Teachers
발행기관
한국기술교육학회
저자명
조정훈(Jo, Jeong-hoon) 이용진(Lee, Yong-jin)
간행물 정보
『한국기술교육학회지』제20권 제2호, 101~120쪽, 전체 2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08.31
5,2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기술교과 예비교사를 대상으로 체계적이고 균형적인 사물 인터넷 교육을 위한 ESP8266 체험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이 연구는 준비 단계, 개발 단계, 개선 단계의 순서로 진행하였다. 준비 단계에서는 교육과정, 기술교과 교사 자격기준, 기술·가정 교과서를 확인하고 관련 연구를 분석하여 사물 인터넷의 핵심기능을 도출하고, 사물 인터넷의 핵심 기능이 ESP8266으로 구현 가능한지 확인하였다. 개발 단계에서는 준비 단계에서 도출한 사물 인터넷 핵심 기능을 바탕으로 기술교과 예비교사에게 적합한 체험 프로그램 학습 주제와 학습 내용을 선정하였다. 선정된 학습 주제와 학습 내용에 따라 체험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전문가 평가를 하여 체험 프로그램을 수정 및 보완하였다. 개선 단계에서는 예비교사를 대상으로 개발된 체험 프로그램의 현장 수업을 시행하고 학습자인 예비교사의 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프로그램을 수정 보완하여 최종 체험 프로그램을 완성하였다. 이 연구 과정으로 얻은 결과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첫째, 이 연구에서는 사물 인터넷 교육 관련 연구에서 사용 도구를 분석하여 ESP8266을 사물 인터넷 교육에 사용 가능한지 확인하였다. 둘째, 이 연구에서는 사물 인터넷 관련 키워드 분석을 하여 사물 인터넷 핵심 기능으로서 센싱 기능, 통신 기능, 작동 기능, 융합 기능을 도출하였다. 셋째, 이 연구에서는 사물 인터넷의 핵심기능을 바탕으로 16차시로 이루어진 12종의 학습 주제로 구성된 체험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넷째, 체험 프로그램을 예비교사 대상으로 현장 수업을 적용한 결과 개발된 체험 프로그램이 예비교사가 사물 인터넷을 체험하는데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systematic and balanced Internet of Things(IoT) experience program of technology subjects with ESP8266 for pre-teach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this study was carried out in the stages of preparation, development and improvement. In the preparatory stage, the curriculum, teacher qualifications, and textbooks were identified and the core functions of IoT were derived from related research. It was also confirmed that the experience program can be developed with ESP8266. In the development phase, experts were evaluated to develop experience programs by selecting appropriate topics and contents with the core functions of IoT. In the improvement phase, on-site classes were conducted and evaluated for pre-teachers, and the development of experience programs was completed by supplementing the results. The results obtained in the course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study analyzed the usage tools in the study on IoT education and confirmed that ESP8266 is available for IoT education. Second, in this study, keyword analysis was conducted to derive sensing function, communication function, operation function and convergence function, which are the core functions of the IoT. Third, based on the core functions of the IoT, an experience program consisting of 12 kinds of learning topics from 16 series has been developed. Fourth, as a result of applying field classes to prospective teachers, the developed experience program has the effect of allowing prospective teachers to experience the IoT.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조정훈(Jo, Jeong-hoon),이용진(Lee, Yong-jin). (2020).기술교과 예비교사의 사물 인터넷 교육을 위한 ESP8266기반 체험 프로그램 개발. 한국기술교육학회지, 20 (2), 101-120

MLA

조정훈(Jo, Jeong-hoon),이용진(Lee, Yong-jin). "기술교과 예비교사의 사물 인터넷 교육을 위한 ESP8266기반 체험 프로그램 개발." 한국기술교육학회지, 20.2(2020): 101-12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