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초등예비교사를 위한 3D 프린터 활용 발명·메이커 교육프로그램 개발 : 온라인 교육을 중심으로

이용수 272

영문명
Development of Invention and Maker Education Program Using 3D Printer for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 Focused on Online Education
발행기관
한국기술교육학회
저자명
배선아(Seona Bae)
간행물 정보
『한국기술교육학회지』제20권 제2호, 83~100쪽, 전체 1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08.31
4,9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초등예비교사를 위한 3D 프린터 활용 발명·메이커 교육프로그램을 온라인 교육에 초점을 맞추어 개발하는데 목적을 두고 수행되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2015 개정 실과 교육과정 발명 내용, 메이커 교육에 대한 문헌 분석을 통해 발명․메이커 교육 모형을 개발하였고, 이를 토대로 3D 프린터 활용 발명·메이커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이 연구는 준비, 개발, 개선의 3단계로 수행되었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개발한 초등예비교사를 위한 3D 프린터 활용 발명·메이커 교육프로그램은 팅커링, 문제 이해, 연구와 개발, 실현, 평가, 페어의 6단계로 구성되었다. 둘째, minds-on, hands-on, hearts-on, social-on, acts-on 영역의 5ONs 요소를 반영하여 복합적이고 창의적인 사고 함양, 실생활 연계와 사회적 협력이 가능하도록 개발되었다. 셋째,‘생활 속 불편함을 개선하는 생활용품 만들기’주제를 바탕으로 30차시 프로젝트형 교육프로그램으로 구성되었다. 넷째, 개발한 교육프로그램은 온라인 교육의 단점인 일방적 학습을 보완하기 위하여 실시간 채팅과 퀴즈, 실시간 피드백을 통해 온라인 동료학습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었다. 3D 모델링 및 슬라이싱 등 온라인 실습에서 발생하는 학습자의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하여 별도의 온라인 소회의실을 도입하여 동료학습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었으며, 3D 프린터 출력 실습이 가능하도록 지역별 메이커 스페이스를 조사, 방문하여 출력 실습할 수 있도록 구성되었다. 팬데믹 시대, 언택트 시대에 교육의 변화와 진화가 필요한 시점에서, 이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3D 프린터 활용 발명·메이커 교육프로그램 운영을 위한 체크리스트 개발, 평가 방법 개발, 프로그램 적용과 효과 분석 등의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 online invention and maker education program using 3D printer for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To achieve such purpose, the invention and maker education model was developed through literature analysis on the invention contents of the 2015 revised practical arts curriculum and maker education, and an invention and maker education program using 3D printer was developed based on such model. This study was carried out in 3 steps including preparation, development, and improvem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invention and maker education program using 3D printer developed for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consisted of 6 steps including tinkering, understanding of problem, research and development, implementation, evaluation, and invention and maker fair. Second, the education program was developed to enable the cultivation of complex and creative thinking, linkage to real life, and social cooperation by applying 5 ONs, minds-on, hands-on, hearts-on, social-on, and acts-on. Third, the education program was composed of 30 hour project type education program based on the subject of ‘Making life products that improves inconvenience in everyday life’ A follow-up study for the development of checklist for the operation of invention and maker education program using 3D printer, development of an evaluation method, aplication of a program, and analysis of its effect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s necessary, especially when changes and evolution of the current education are needed in this pandemic and untact era.

목차

Ⅰ. 서론
Ⅱ. 발명교육과 메이커 교육
Ⅲ. 연구 방법 및 절차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배선아(Seona Bae). (2020).초등예비교사를 위한 3D 프린터 활용 발명·메이커 교육프로그램 개발 : 온라인 교육을 중심으로. 한국기술교육학회지, 20 (2), 83-100

MLA

배선아(Seona Bae). "초등예비교사를 위한 3D 프린터 활용 발명·메이커 교육프로그램 개발 : 온라인 교육을 중심으로." 한국기술교육학회지, 20.2(2020): 83-10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