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융복합 문화예술의 내러티브 교육적 의미에 대한 탐구

이용수 236

영문명
A Study on the narrative educational meaning of convergence culture and arts
발행기관
한국문화교육학회
저자명
김정숙(Jung-Suk, Kim) 이준용(Jun-Yong, Lee)
간행물 정보
『문화예술교육연구』제15권 제2호, 71~89쪽, 전체 19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04.30
5,0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내러티브를 활용한 융복합 문화예술 교육이 가지는 의의와 효과를 질적연구방법을 통해 확인하는 것이다. 먼저 학문의 공통분모를 파악하고 그것을 중심으로 보다 실질적인 융복합을 시도했다. 그것을 근거로, 두려움에 의존한 기존 근대적이고 일방향적인 교육 패러다임을 대체할, 성장으로 이끄는 양방향적인 교육 패러다임에 대해 논의하며 융복합교육의 이론적 기반을 구성했다. 그리고 고전 예술 내러티브를 활용한 융복합 문화예술 교육이라는 방법론적 대안을 제안했다. 이어서 융복합 문화예술 교육의 형식으로 설계된 체험 학습을 열어 실제 경험 사례를 얻고, Giorgi(1985)의 현상학적 방법에 따라 분석했다. 청소년 참여자들의 면담 내용을 분석한 결과 대안적 교육 패러다임의 가치에 해당되는 3개의 중심의미(문화예술의장, 이론과 실제의 적용, 경험에 대한 도전)와 10개의 주제 구조(문화예술에 대한 이해, 내가 할 수 있다는 설레임, 문화예술로 향한 접근성, 문화예술과 교육, 지식의 습득, 실제의 흥미 있는 경험, 지식과 실제의 동시성, 창의적 놀이와 상상력의 발현, 긍정심리 유발, 협동을 통한 타인의 이해)가 발견되었고, 청소년들은 긍정적 심리현상들을 경험했고 자발적으로 몰입했으며 상호작용 과정에서 보다 협력적으로 대처했다. 결론적으로 내러티브적으로 구축된 교육적 틀은 참여자들의 융합적 사고와 사회적 감성적 역량의 발달을 유도하였으며, 그 긍정적 효과와 현장 적용 가능성이 확인되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ignificance and effects of convergence culture and arts education using narrative through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First, the common denominator of the study was sought, and more practical convergence was attempted based on it. The theoretical foundation of convergence education was formed by discussing the interactive education paradigm that leads to growth, which can replace the existing modern and one-way education paradigm that relies on fear. And a methodological alternative to convergence culture and arts education using classical art narrative was proposed. In addition, by opening experiential learning designed in the form of convergence culture and arts education, an actual case was obtained and analyzed according to the phenomenological method of Giorgi (2003).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interview contents of youth participants, three central meanings(the field of culture and art, application of theory and practice, challenge to experience) and ten thematic structures(understanding of cultural arts, excitement that I can do, access to cultural arts, cultural arts and education, knowledge acquisition, real interesting experiences, knowledge and real simultaneity, creative play and imagination, triggering positive psychological phenomena, understanding of others through cooperation) corresponding to the value of the alternative educational paradigm were found. They experienced positive psychological phenomena, voluntarily immersed them, and responded more cooperatively in the interaction process. In conclusion, it was confirmed that such a narratively appropriately constructed educational framework induced participants convergent thinking and social and emotional competence, and that the positive effects and the possibility of field application are sufficient.

목차

Ⅰ. 서론
Ⅱ. 융복합과 내러티브
Ⅲ. 융복합 문화예술 교육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정숙(Jung-Suk, Kim),이준용(Jun-Yong, Lee). (2020).융복합 문화예술의 내러티브 교육적 의미에 대한 탐구. 문화예술교육연구, 15 (2), 71-89

MLA

김정숙(Jung-Suk, Kim),이준용(Jun-Yong, Lee). "융복합 문화예술의 내러티브 교육적 의미에 대한 탐구." 문화예술교육연구, 15.2(2020): 71-8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