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일상생활활동 과제수행 자가 체크 프로그램이 뇌졸중 환자의 재활동기와 기능회복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221
- 영문명
- The Effect of Self-administered Check Program on Rehabilitative Motivation and Functional Recovery of Stroke Patients
- 발행기관
-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
- 저자명
- 차수민(Cha, Su-Min) 김형준(Kim, Hyung-Jun) 이지원(Lee, Ji-Won) 임나현(Lim, Na-Hyun) 조혜민(Cho, Hye-Min) 황혜영(Hwang,
- 간행물 정보
-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지』제12권 제1호, 75~83쪽, 전체 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5.31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를 통해 일상생활활동 과제수행 자가 체크 프로그램이 뇌졸중 환자의 재활동기와 기능회복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2019년 7월 1일부터 2019년 7월 29일 까지 부산, 울산시에 위치한 A, B, C, D 병원에서 작업치료를 받는 뇌졸중 환자 3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대조군 15명에게는 일반적인 작업치료 프로그램을 적용하였고, 실험군 15명에게는 일반적 작업치료프로그램과 일상생활활동 과제수행 자가 체크 프로그램을 동시에 적용하였다. 중재 프로그램은 주 5회, 4주간 총 20회 적용하였다. 수정바델지수(Modified Bartel Inex: MBI)를 사용해 일상생활활동 수행능력을 평가하였고, 재활동기척도를 사용해 재활동기를 평가하였다. 일상생활활동 과제수행 자가 체크프로그램이 기능회복과 재활동기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윌콕슨 순위합 검정(Wilcoxon Rank-sum test)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실험군과 대조군 간의 중재효과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윌콕슨 순위합 검정을 실시한 결과, 실험군에서는 기능회복(Z= -2.769, p<.05)과 재활동기(Z= -2.367, p<.05)가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대조군에서는 기능적 회복(Z= -2.527, p<.05)은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나, 재활동기(Z= -1.743, p=0.081)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결론: 뇌졸중 환자의 기능회복을 위한 작업치료 중재 시, 자가 체크 프로그램을 함께 적용함으로써 일상생활활동 수행능력과 재활동기에 유의한 향상이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더불어 홈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일상생활활동 과제수행 자가 체크 프로그램의 적용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영문 초록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elf-administered check programs for
performing activities of daily living on rehabilitative motivation and functions of stroke patients.
Methods: From July 1, 2019, to July 29, 2019, 30 stroke patients were treated at A, B, C and D hospitals located in Busan and Ulsan. A generalized occupational therapy intervention program was applied to 15 control members, and a generalized occupational therapy intervention and self-administered check programs were applied to 15 subjects simultaneously. The intervention program was applied five times a week and a total of 20 times in four weeks. The ability to perform daily activities was assessed using Modified Bartel Index (MBI), and the rehabilitative motivation was evaluated using the Rehabilitative Motivation Scale. To analyze the effects of self-administered
check program on functional recovery and rehabilitative motivation, Wilcoxon Rank-sum testt were conducted.
Results: As a result of the Wilcoxon Rank-sum test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in the intervention effect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the functional recovery (Z = -2.769, p <.05) and rehabilitative motivation(Z = -2.367, p <.05) in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ontrol group,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functional recovery (Z = -2.527, p <.05), but not in the rehabilitative motivation(Z = -1.743, p = 0.081).
Conclusion: The application of self-administered check programs in the occupational therapy program for functional recovery of stroke patients together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s in the performance capability of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rehabilitative motivation. In addition, the possibility of using self-administered check programs could be checked as part of the home program.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내용 및 방법
Ⅲ. 연구결과
Ⅳ. 고 찰
Ⅴ. 결 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건강보험 보험료 부과체계 개편이 고령자 가계에 미치는 영향 연구: 동두천시, 연천군 지역
- 홍콩 노인 아카데미 사례를 통한 활동적 고령화(Active Ageing)의 평생교육 활성화 방안
- 일상생활활동 과제수행 자가 체크 프로그램이 뇌졸중 환자의 재활동기와 기능회복에 미치는 영향
- 노인장기요양보험 재가급여 수급자 가족의 시설급여 이용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손마사지와 네일아트가 주간보호시설 이용 고령자의 우울감과 고독감에 미치는 효과 연구
- 지체⋅뇌병변 고령장애인의 일상생활 보조기기 이용실태 및 사용 만족도 평가
- 웰다잉의 국내 연구동향 분석: 최근 5년간 연구를 바탕으로
- 스마트 헬스케어 현황과 활성화 방안 연구: 부산광역시 중심으로
- 뇌졸중 환자에게 적용한 이중과제 훈련에 대한 체계적 고찰
- 재활복지의료기기 센터에 관한 인식조사
- 뉴스기사 빅테이터를 활용한 노인일자리 트렌드 분석: 2010-2019년
- 재활로봇에 대한 대학생들의 인식 조사: 작업치료학과 대상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 임상간호사의 환자안전간호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