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재활복지의료기기 센터에 관한 인식조사
이용수 54
- 영문명
- A Study on the Recognition of Rehabilitation Medical Welfare Device Center
- 발행기관
-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
- 저자명
- 장태용(Jang, Tae-Yong) 최현세(Choi, Hyun-Se)
- 간행물 정보
-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지』제12권 제1호, 95~102쪽, 전체 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5.31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전문가들의 재활복지의료기기 센터의 인식과 요구도 조사를 기반으로 재활복지의료기기센터 설립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2018년 2월 1일부터 15일까지 전국에 있는 재활복지 및 의료기관 관련 전문가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배부된 설문지는 총 125부였으며, 회수된 설문지는 총 104부였다. 수집된 자료는 통계 프로그램 SPSS Ver. 24.0을 사용하여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재활복지의료기기 센터가 필요성에 대해 “필요하다”라는 응답이 102명(98%)이며 “필요하지 않다”는 응답이 2명(2%)로 나타났다. 재활복지의료기기 센터의 설립 목적에 대해 묻는 문항에서 가장 많은 응답은 기기 사용하기 전에 “측정 및 평가”를 위한 목적으로 필요하다는 응답이 80명(33.9%)로 가장 많았으며, “재활복지의료기기 체험”을 위해서는 54명(22.9%), “상담 및 컨설팅”을 해주기 위해서는 50명(21.2%), “기기 사용 교육”을 위해서는 38명(16.1%), “의료기기 및 재활복지기기 전시”를 위해서 13명(5.7%)이다.
결론: 본 연구는 재활의료복지기기 센터가 설립이 필요성과 인지 및 지각에 관한 영역과 일상생활활동에 관련한 영역을 확대하여야 한다는 요구도가 높았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반영하여 체계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되며, 추후 센터설립에 기초자료로 사용될 것으로 사료된다.
영문 초록
Objective : This study experts of Rehabilitation medical welfare devices center and based on the Demand for Rehabilitation & Welfare Center for the establishment of medical devices to provide a basic data aims.
Methods : From February 1 to 15, 2018, a survey was conducted on rehabilitation welfare and medical institution-related experts nationwide. A total of 125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and 104 were collecte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tatistical program SPSS Ver. 24.0.
Results : On the need for rehabilitation and welfare device centers, 102 (98%) said they were necessary and 2 (2%) said they were not needed. The most frequently asked questions about the purpose of establishing a rehabilitation medical device center were 80 (33.9%) who answered that it was necessary for the purpose of measurement and evaluation before using the device, 54 (22.9%) for rehabilitation medical device experience , 50 (21.2%) for consultation and consulting , 38 (16.1%) for institution use education , and 13.7 for rehabilitation device display.
Conclusion : In this study, there was a high demand for the establishment of the Rehabilitation Medical Welfare Device Center and to expand the area related to the recognition and perception of the need for the establishment and the areas related to daily activities. It is believed that systematic research should be conducted to reflect these results, and that it will be used as basic data for the establishment of the center in the future.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고 찰
Ⅴ. 결 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건강보험 보험료 부과체계 개편이 고령자 가계에 미치는 영향 연구: 동두천시, 연천군 지역
- 홍콩 노인 아카데미 사례를 통한 활동적 고령화(Active Ageing)의 평생교육 활성화 방안
- 일상생활활동 과제수행 자가 체크 프로그램이 뇌졸중 환자의 재활동기와 기능회복에 미치는 영향
- 노인장기요양보험 재가급여 수급자 가족의 시설급여 이용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손마사지와 네일아트가 주간보호시설 이용 고령자의 우울감과 고독감에 미치는 효과 연구
- 지체⋅뇌병변 고령장애인의 일상생활 보조기기 이용실태 및 사용 만족도 평가
- 웰다잉의 국내 연구동향 분석: 최근 5년간 연구를 바탕으로
- 스마트 헬스케어 현황과 활성화 방안 연구: 부산광역시 중심으로
- 뇌졸중 환자에게 적용한 이중과제 훈련에 대한 체계적 고찰
- 재활복지의료기기 센터에 관한 인식조사
- 뉴스기사 빅테이터를 활용한 노인일자리 트렌드 분석: 2010-2019년
- 재활로봇에 대한 대학생들의 인식 조사: 작업치료학과 대상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 임상간호사의 환자안전간호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