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Effects of Dual-Task Training in Patients with Stroke: A Systemic Review
- 발행기관
-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
- 저자명
- 안희수(An, Hee-Su) 김덕주(Kim, Deok-Ju)
- 간행물 정보
-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지』제12권 제1호, 104~116쪽, 전체 1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5.31
4,3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뇌졸중 환자에게 제공한 이중과제 훈련의 최신 경향을 알아보기 위한 체계적 고찰 문헌연구로, 이중과제에 대한 근거를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2010년 1월부터 2019년 12월까지 출판된 문헌을 대상으로 국내 문헌은 Riss, Kiss에서 검색하였고, 국외 논문은 PubMed, Science Direct를 통해 검색하였다. 총 327편의 논문이 검색되었고, 포함 기준과 배제 기준을 바탕으로 분석하여 최종 12편의 논문이 분석에 사용되었으며 근거 수준 Ⅰ이 12편(100%)으로 분석되었다.
연구결과: 분석 결과 균형+상지가 4편 (33.4%)으로 가장 많았으며 보행+인지 3편(25.0%), 보행+상지 2편(16.7%), 보행+가상현실, 균형+인지+상지, 보행+상지+청각이 각 1편(8.3%)으로 확인되었다. 선정된 문헌에서 사용된 평가영역은 총 34개 영역이었으며, 동적 균형, 보행속도, 보행능력에 대한 평가가 많이 사용되었다.
결론: 본 연구는 뇌졸중 환자에게 제공한 이중과제 훈련의 사례들을 정리해서 공유할 수 있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뇌졸중 환자의 이중과제 훈련에서 인지, 운동기능의 향상과 더불어 상호작용이 중요다는것을 알 수 있었으며 이중과제 수행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영문 초록
Objective: The c urrent study was a systematic review through which we a imed to identify the latest trends in dual-task training provided to patients with stroke and to suggest a basis for dual-task training.
Methods: From January 2010 to December 2019, domestic journals were searched using Riss and Kiss, and international journals were searched using PubMed, and Science Direct. A total of 327 papers were retrieved, and 12 papers were finally used in the analysis based on the inclusion and exclusion criteria. Basis level I was analyzed in all 12 papers (100%).
Results: The analysis revealed that Balance + upper extremity(U/E) was the most common intervention type described in 4 papers (33.4%), followed by 3 papers reporting Gait + U/E (25.0%), 2 papers reporting Gait + U/E (16.7%), 1 paper about the Gait + Virtual reality program (8.3%), 1 paper describing Balance + Cognition + U/E (8.3%), and 1 paper reporting Gait + U/E + Auditory feedback (8.3%). Thirty-four areas of evaluation were reported in the selected papers, with many assessments of dynamic balance, gait speed, and gait ability.
Conclusion: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cases of dual-task training provided to patients with stroke are summarized and shared. It was found that the interaction and improvement in cognitive and motor function are important, and they also have a positive effect on dual-task performance during dual-task training in patients with stroke.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고 찰
Ⅴ. 결 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건강보험 보험료 부과체계 개편이 고령자 가계에 미치는 영향 연구: 동두천시, 연천군 지역
- 홍콩 노인 아카데미 사례를 통한 활동적 고령화(Active Ageing)의 평생교육 활성화 방안
- 일상생활활동 과제수행 자가 체크 프로그램이 뇌졸중 환자의 재활동기와 기능회복에 미치는 영향
- 노인장기요양보험 재가급여 수급자 가족의 시설급여 이용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손마사지와 네일아트가 주간보호시설 이용 고령자의 우울감과 고독감에 미치는 효과 연구
- 지체⋅뇌병변 고령장애인의 일상생활 보조기기 이용실태 및 사용 만족도 평가
- 웰다잉의 국내 연구동향 분석: 최근 5년간 연구를 바탕으로
- 스마트 헬스케어 현황과 활성화 방안 연구: 부산광역시 중심으로
- 뇌졸중 환자에게 적용한 이중과제 훈련에 대한 체계적 고찰
- 재활복지의료기기 센터에 관한 인식조사
- 뉴스기사 빅테이터를 활용한 노인일자리 트렌드 분석: 2010-2019년
- 재활로봇에 대한 대학생들의 인식 조사: 작업치료학과 대상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 임상간호사의 환자안전간호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