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공공기관의 조직문화 특성이 집단창의성에 주는 영향과 공유리더십의 매개효과

이용수 225

영문명
The Mediating Effect of Shared Leadership on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Culture and Group Creativity of Public Organization
발행기관
한국직업교육학회
저자명
안지선(Ji Sun Ahn) 홍아정(Ah Jeong Hong)
간행물 정보
『직업교육연구』제34권 제1호, 1~23쪽, 전체 2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5.02.28
5,5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최근 공공기관들은 조직 전반적인 측면에서 지속적인 혁신을 꾀하고 있고, 이에 따라 조직혁신의 근원적 기반인 조직문화에 대한 관심 또한 커져가고 있다. 이와 더불어 혁신의 핵심요소인 조직의 창의성을 관리하는 데 있어서도 새로운 접근이 요구되고 있는데, 창의성 관리를 위해 집단과 조직 맥락에서 중요하게 고려해야 할 요인 중 하나로 조직문화를 보고 있다는 점이다. 또한 리더십은 구성원이 조직문화와 풍토 그리고 혁신에 대한 지원을 어떻게 지각하는가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맥락변수로서, 조직 내에서 리더십이 어떻게 작용하고 있는 가를 살피는 것은 조직 내 집단창의성 발현과 관련하여 중요한 시사점을 줄 수 있다. 특히 조직문화와 집단창의성을 매개하는 리더십은 공유된 리더십의 관점에서 살펴볼 필요가 있는데, 이는 관료주의적 성향이 강한 공공기관의 경우 조직의 창의성을 극대화하고 혁신을 유도하기 위해서는 전통적인 리더십 모델보다는 팀 리더십발현의 차원에서 공유리더십의 영향력을 살펴보는 것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조직문화, 공유리더십, 집단창의성 간의 인과관계가 존재한다는 기존의 선행연구들의 결과가 공공기관 맥락에서도 적용되는 지 분석하였고, 조직문화와 집단창의성 관계에서 위계적인 소수자의 리더십이 아닌 상황 맥락을 중요시하는 공유리더십의 매개적 효과를 검증하였다. 설문분석결과, 조직문화 특성 중 발전문화와 위계문화가 집단창의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며, 조직문화 특성과 집단창의성 관계에서 공유리더십의 매개효과는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공공기관의 조직문화 역시 집단창의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해주는 것이고, 집단창의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구성원들 간의 수평적 관계를 중심으로 하는 공유리더십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입증한데서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shared leadership on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culture and group creativity of public organization. The participants of the study were 195 staffs from public organizations. Sub-variables of ‘organizational culture(independent variable)’ are Clan, Hierarchy, Adhocracy, Market(Cameron & Quinn, 1999) and sub-variables of ‘group creativity(dependent variable)’ are divergent thinking capability and creative problem solving capability(Hiller et al., 2006). Sub-variables of ‘shared leadership(mediating variable)’ are planning and organizing, problem solving, support and consideration, development and mentoring(Basadur & Finkbeiner, 1985). Correlations and a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were conducted to analyze the data.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shared leadership part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hierarchy culture and divergent thinking capability. Also,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dhocracy culture and divergent thinking capability, shared leadership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 Second, shared leadership part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hierarchy culture and creative problem solving capability. Also,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dhocracy culture and creative problem solving capability, shared leadership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 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안지선(Ji Sun Ahn),홍아정(Ah Jeong Hong). (2015).공공기관의 조직문화 특성이 집단창의성에 주는 영향과 공유리더십의 매개효과. 직업교육연구, 34 (1), 1-23

MLA

안지선(Ji Sun Ahn),홍아정(Ah Jeong Hong). "공공기관의 조직문화 특성이 집단창의성에 주는 영향과 공유리더십의 매개효과." 직업교육연구, 34.1(2015): 1-2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