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신체적 상실을 경험한 여성암 환자의 애도를 위한 미술치료 질적 사례 연구

이용수 1786

영문명
Qualitative Case Study of Grief Art Therapy for Female Cancer Patient with Physical Loss
발행기관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저자명
안미나(Ahn, Mina) 박소정(Park, Sojung)
간행물 정보
『예술심리치료연구』제16권 제1호, 77~110쪽, 전체 3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심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03.31
6,8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질적 사례 연구는 신체적 상실을 경험한 여성암 환자의 애도를 위한 미술치료 과정에서 여성이 어떠한 경험을 하였고, 그 경험의 의미가 무엇인지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위해 자궁경부암 0기 진단 후 전자궁적출술을 받았으며, 유방암 2기 진단 후 우측 유방 부분절제술을 받아 사례선정 당시 항암화학요법 치료 과정 중에 있던 만 43세 기혼여 성이 참여하였다. 애도를 위한 미술치료 프로그램은 총 16회기로, Kubler-Ross의 애도 5단 계와 Worden이 제시한 애도의 기본과업 네 가지를 토대로 반구조화 된 방식으로 구성되었 다. 수집된 자료는 반복적 비교분석법을 적용하여 신체적 상실을 경험한 여성암 환자의 애 도를 위한 미술치료 경험과 의미를 탐색하였다. 그 결과, 참여자의 경험은 ‘암으로 인한 외 형적 변화에 표면적 상실감을 느낌’, ‘오랜 시간 억압되어온 모호한 내면적 상실감은 마주할 용기가 없음’, ‘미술치료 안에서 막연했던 상실감의 실체를 알아차림’, ‘미술 작업을 통해 상 실에 대한 감정을 마주하여 수용함’. ‘이제는 나에게 초점을 맞추며, 잃어버린 내 모습들을 되찾고자 함’, ‘현실을 긍정적으로 받아들이며, 미래를 준비해 나갈 힘이 생김’으로 총 6개의 상위 범주와 15개의 하위 범주가 도출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신체적 상실을 경험한 여성암 환자의 애도를 위한 미술치료가 다양한 수준의 상실감을 시각적으로 탐색하고 통합적으로 수용하여 재구성하게 하였으며, 이를 통해 여성성에 대한 인식 전환 및 자아를 재정립하는 데 치료적 의의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qualitative case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xperiences and implications of the art therapy for grief, for a female cancer patient who had experienced physical loss. A 43-years-old married woman participated for the study, who was still under the anticancer therapy after receiving a total abdominal hysterectomy and a partial mastectomy after being diagnosed with stage 0 cervical cancer and stage 2 breast cancer. A semi-structured grief art therapy program was conducted based on Kubler-Ross’s five stages of grief, and the four basic tasks of grief by Worden. Repeated comparative analysis method was applied to the collected data, which results identified 6 themes and 15 sub-themes, including , , , , , and . This study showed that art therapy provided a meaningful experience for the participant who experienced physical loss due to the breast and cervical cancer, by visually exploring, accepting, and re-establishing various levels of sense of loss, and confirmed the therapeutic significance that transformed the perception of femininity and re-established the ego.

목차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문제
Ⅱ. 연구방법
1. 질적 사례 연구
2. 연구 참여자
3. 자료 수집
4. 자료 분석
Ⅲ. 연구 결과
1. 암으로 인한 외형적 변화에 표면적 상실감을 느낌
2. 오랜 시간 억압되어온 모호한 내면적 상실감은 마주할 용기가없음
3. 미술치료 안에서 막연했던 상실감의 실체를 알아차림
4. 미술 작업을 통해 상실에 대한 감정을 마주하여 수용함
5. 이제는 나에게 초점을 맞추며, 잃어버린 내 모습들을 되찾고자 함
6. 현실을 긍정적으로 받아들이며, 미래를 준비해 나갈 힘이 생김
Ⅳ.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안미나(Ahn, Mina),박소정(Park, Sojung). (2020).신체적 상실을 경험한 여성암 환자의 애도를 위한 미술치료 질적 사례 연구. 예술심리치료연구, 16 (1), 77-110

MLA

안미나(Ahn, Mina),박소정(Park, Sojung). "신체적 상실을 경험한 여성암 환자의 애도를 위한 미술치료 질적 사례 연구." 예술심리치료연구, 16.1(2020): 77-11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