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중등학교 경도장애학생의 효과적 학교상담을 위한 협력의 저해요인에 대한 교사의 인식

이용수 170

영문명
Teachers’ Perception of Factors Hindering Collaboration for Effective School Counseling for Students with Mild Disabilities in Middle and High Schools
발행기관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저자명
김한아(Kim, Hana) 오인수(Oh, Insoo)
간행물 정보
『교육혁신연구』제30권 제1호, 145~173쪽, 전체 29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03.31
6,2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는 중등학교 통합환경의 경도장애학생을 위한 학교상담에서 주요 주체인 특수교사, 담임교사, 학교상담자 간 협력의 저해요인에 대한 인식을 탐색하여 주체 간 협력의 촉진과 장애학생에 대한 학교상담의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개념도 연구방법을 활용하였다. 첫째, 특수교사, 담임교사, 학교상담자 26명에 대한 면담을 통해 아이디어 진술문 목록을 추출하였다. 다음으로, 특수교사, 담임교사, 학교상담자 41명의 진술문 목록에 대한 유사성 분류와 중요도 평정을 통해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마지막으로, 유사성 분류 자료에 대해 다차원척도 분석과 위계적 군집분석을 실시하고, 평정 자료에 대한 통계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 ‘주체-체제’, ‘관계-전문성’의 2차원에 바탕을 둔 장애학생 학교상담에서 주체 간 협력의 저해요인에 대한 개념도가 도출되었다. 점지도에서 좌표값은 총 6개의 군집으로 군집화되었는데, 평균 중요도가 높은 순으로 ‘통합교육에 대한 인식 부족’, ‘협력에 필요한 신뢰와 소통의 부족’, ‘각 주체 간 장애학생 지도 관점의 차이’, ‘각 주체의 장애학생 이해 및 지도 역량 부족’, ‘장애학생에 대한 상담적 개입을 어렵게 만드는 학교 체제’, ‘각 주체 간 협력을 어렵게 하는 학교 내 인적, 물적 환경’이다. 논의 및 결론: 개념도 상에서 군집 내 유사도와 군집 간 관계, 그리고 평균 중요도를 기반으로 협력의 저해요인에 대한 전체 집단의 인식과 각 집단 간 인식의 차이를 논하고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mprove the school counseling services for students with mild disabilities in inclusive middle and high schools by investigating the hindering factors of collaboration among key stakeholders(special educators, general educators, and school counselors). Method: The concept mapping research method was used. First, 26 key stakeholders brainstormed hindering factors of collaboration by answering the focus developed by researchers. Second, the data were collected by 41 key stakeholders’ similarity sorting and importance rating on the final 49 statements. Third, researchers analyzed the data by using multidimensional scaling and hierarchical cluster analysis. Results: The multidimensional scaling identified two dimensions: ‘subject-system,’ and ‘relationship-expertise.’ A total of 6 clusters derived through hierarchical cluster analysis: “lack of disability inclusion awareness,” “lack of trust and communication required for collaboration,” “the critical stakeholders’ difference on pedagogical philosophies instructing students with disabilities,” “lack of understanding and competency for helping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school structure impeding counseling intervention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physical environment and human resources in school hindering collaboration.” Conclusion: Based on the relationship among clusters on the final concept map and the rated importance, researchers discussed the perception of the key stakeholders and differences among them.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한아(Kim, Hana),오인수(Oh, Insoo). (2020).중등학교 경도장애학생의 효과적 학교상담을 위한 협력의 저해요인에 대한 교사의 인식. 교육혁신연구, 30 (1), 145-173

MLA

김한아(Kim, Hana),오인수(Oh, Insoo). "중등학교 경도장애학생의 효과적 학교상담을 위한 협력의 저해요인에 대한 교사의 인식." 교육혁신연구, 30.1(2020): 145-17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