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渤海 王陵比定 試論

이용수 553

영문명
Working Theory on the Royal Tomb Designation of Balhae
발행기관
한국고고학회
저자명
崔正凡(Choi, Jungbum)
간행물 정보
『한국고고학보』제113집, 230~263쪽, 전체 34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12.31
6,8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한국고대국가의 고고학적 연구에서 왕릉 비정은 꾸준히 진행되어 왔고, 연구자별로 이견은 있지만 어느 정도 정합성을 갖추어 가고 있다. 그러나 발해는 이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지 않아서 시론적인 비정과 논의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육정산고분군은 1고분군의 남쪽이 핵심능원이다. 1-M3호는 목곽을 매장주체부로 하는 석축에 廟堂이건립된 형태인데, 건국계통이 말갈계 고구려인임을 암시하며 이는 『구당서』와 『신당서』에 발해건국의출자가 다르게 기록된 사실과도 부합한다. 따라서 1-M3호는 진국공, 1-M4호는 고왕 대조영의 능으로비정한다. 또한 정혜공주묘의 위치와 당 황제릉의 배장묘 배치를 참고하면 1-M1호는 무왕 대무예의 능으로 비정한다. 용두산고분군은 용해구역이 핵심능원으로써 순목황후의 묘지명을 통해 M2호분은 간왕 대명충의 능으로 잠정 비정한다. 능선 하단의 M13・14호분은 출토된 대장식구와 금동관 등의 유물로 미루어 강왕 대숭린의 능으로 비정한다. 한편 문왕 대흠무는 자신이 경영하고 중요하게 여겼던 중경현덕부와 가까운하남둔고분으로 비정한다. 용해구역 M13・14호와 구조적으로 유사할 뿐만 아니라 금제 대장식구, 대도등이 출토된 점, 해란강을 사이에 두고 서고성과 나란하게 배치됨은 이를 방증한다. 더하여 國人에 의해 피살된 폐왕 대원의는 마적달탑고분에 매장된 것으로 본다. 선왕 대인수의 즉위 이후 발해왕실의 계보는 대야발계로 변화하고 도읍은 상경용천부로 안정화되면서목단강 북안에 위치한 평지에 새롭게 능원을 형성한다. 삼릉둔 M1호분은 선왕 대인수의 능역으로 비정한다. 삼릉둔고분군이 개별 능역을 갖추며 묘제에 모줄임 천장을 채택한 점, 고분의 입지나 조성원리등은 당 황제릉이나 돌궐의 제사유적을 답습하면서도 새로운 왕계에 의한 권력 세습 과정에서 고구려계승의식을 드러냈다는 점에서 발해 왕릉의 완성형으로 볼 수 있다.

영문 초록

Archeological studies on ancient Korean kingdoms have continuously revealed the identity of the deceased buried in royal tombs. Although there are different opinions among researchers, royal tombs have been consistently defined to a certain degree. Unfortunately, the royal tombs of Balhae are an exception. Therefore, a preliminary examination and discussion of those tombs are necessary. The central area of the Mt. Liuding Tombs is in the area south of Tomb Group 1. Tomb 1-M3 has a wooden tomb chamber, and the mausoleum is constructed on a stone foundation, which suggests that the Mohe-Goguryeo people established Balhae. This is consistent with the fact that 〈Old Tang History〉 and 〈New Tang History〉 relay different origins concerning the foundation of Balhae. Accordingly, Tombs 1-M3 and 1-M4 can be attributed to Jingukkong and King Ko, Dae Joyoung, respectively. Additionally, based on the location of the Tomb of Princess Jeonghye and the arrangement of attendant tombs for the Emperors’ tombs in the Tang dynasty, Tomb 1-M1 seems to be the tomb of King Mu, Dae Muyeo. The Longhai tombs represent the core of the Mt. Longtou Tombs. Tomb M2 is provisionally attributed to King Kan, Dae Myeongchung, based on the epitaph of Queen Sunmok’s tomb. The buried person of Tombs M13·M14 is King Kang, Dae Sungrin, as suggested by excavated artifacts, such as belt and crown ornaments. As King Mun, Dae Heummu, managed and prioritized the middle capital Hyundukbu, he is most likely buried in Heonantun Tomb, which is near the city. This interpretation is based on the following evidence: the Heonantun Tomb has a similar structure to Longhai Tombs M13·14 and is located parallel to Seogo Castle across the Hailan river. In addition, golden belt ornaments and long swords have also been excavated from Heonantun Tomb. Dae Wonui, a dethroned king killed by his people, is probably buried in the Tower Madida Tomb. After King Sun, Dae Insoo, ascended the throne, the royal genealogy of Balhae changed to the Dae Yabal family, and Sangkyeongyongcheonbu became the stable capital. Royal tombs were built on the plane to the north of the Mokdan River. Among the Sanlingtun Tombs, King Sun, Dae Insoo, is buried in Tomb M1. As the Sanlingtun Tombs consisted of independent tombs and adopted corbeled vaulted ceilings, the location and construction method of the tombs appears to have spread from either the Emperors’ tombs of the Tang Dynasty or the ritual sites of the Turks. Conversely, an awareness of succeeding Goguryeo was demonstrated in the hereditary succession of the new royal family. Thus, the Sanlingtun Tombs can be regarded as the completion of the Balhae Royal Tombs.

목차

Ⅰ. 머리말
Ⅱ. 연구 현황
Ⅲ. 유적의 검토
Ⅳ. 발해 왕릉의 새로운 비정
Ⅴ.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崔正凡(Choi, Jungbum). (2019).渤海 王陵比定 試論. 한국고고학보, 113 , 230-263

MLA

崔正凡(Choi, Jungbum). "渤海 王陵比定 試論." 한국고고학보, 113.(2019): 230-26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