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삼국시대 철탁의 성격과 의미

이용수 707

영문명
Nature and Meanings of Iron Bells in the Three Kingdoms Period
발행기관
한국고고학회
저자명
김도영(Kim, Doyoung)
간행물 정보
『한국고고학보』제113집, 190~229쪽, 전체 40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12.31
7,6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글에서는 삼국시대 고분에서 출토되는 철탁을 분석하여 그 성격과 의미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삼국시대 철탁은 현재까지 297개 유구에서 총 788점이 출토되었다. 공반된 신라토기의 연대관을 참고로 하면 철탁의 전개 과정은 총 4단계로 나눌 수 있다. I단계(5세기 후반)에는 신라의 한 지방인 대구지역을 중심으로 낙동강 이동지방에 철탁이 한정적으로분포한다. 철탁은 ‘신라 내 지방세력의 문화요소’로 등장하였으며 공반된 겸형철기와 유자이기로 보아당시 이미 신라의 지방에서 자체적인 철기의 제작이 이루어진 것으로 보인다. II단계(6세기 전반)에는 철탁의 분포 범위가 낙동강 이동지역을 넘어 김천, 칠곡, 구미, 군위, 의성, 안동 등 낙동강 중·상류지역까지 확대된다. 특히 경주지역에도 많은 수의 철탁이 부장되는데 이는 신라의 지방문화가 중심까지 파급된 현상으로 이해할 수 있다. III단계(6세기 후반)에는 철탁의 전체적인 수량이 감소하나 분포 범위는 오히려 한층 확대된다. 화성과여주 등 중부지방과 김해와 고령지역에 다수의 철탁이 확인되는 현상은 이 시기 이루어진 신라의 세력확장과 관련 있다. IV단계(7세기 전반)에는 대구와 파주에서 철탁이 소수 확인되며 이후 철탁은 그다지 성행하지 않았을가능성이 크다. 이외에 매장시설, 부장 위치, 유기질 흔적, 어망추 등 부장 양상을 다각도로 검토한 결과 지금까지 막연히 단야장인, 제사장 또는 여성으로 추정된 피장자의 성격 및 성별을 판단하는 데 신중할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 공반 유물로 보아 삼국시대 철탁 중 그 일부는 儀器, 또는 워낭의 기능을 가진 것으로 추정된다. 한편 한반도의 영향을 받아 일본열도에서도 철탁이 출현한다. 일본열도 내에서 철탁을 비롯한 도래계문물을 적극적으로 수용하고자 한 지역은 九州였으며 그 성행 시기를 보아 백제, 대가야와 함께 신라도왜와 지속적인 교섭을 시도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영문 초록

This paper examined the nature and meanings of iron bells that were excavated from ancient tombs in the Three Kingdoms Period. So far, a total of 788 iron bells of the Three Kingdoms Period have been excavated from 297 tombs. Referring to the production period of Silla pottery excavated in association with them, the iron bells could be largely divided into four stages from Stage I (the late 5th century) to Stage IV (the early 7th century). In Stage I (the late 5th century), the distribution of iron bells was limited to the eastern area of Nakdong River, focusing on the Daegu region as a province of Silla. The iron bells appeared as a ‘cultural element of regional power within Silla’. Considering the sickle-shaped ironware excavated together, it appears that the production of ironwares was already undertaken in the regions of Silla at the time. In Stage II (the early 6th century), the distribution range of iron bells spread to the middle and upper regions of the Nakdong River, to areas such as Gimcheon, Chilgok, Gumi, Gunwi, Uiseong, and Andong, after expanding from the area east of the Nakdong River. In particular, numerous iron bells were buried in the Gyeongju region; this can be understood as the spread of the local culture of Silla to the center. In Stage III (the late 6th century), the quantity of iron bells decreased while the distribution range further expanded. The phenomenon of finding many iron bells in Gimhae, Goryeong, and the central region of Korea (such as Hwaseong and Yeoju) is related to the power expansion of Silla at this time. In Stage IV (the early 7th century), a few iron bells are seen from Daegu and Paju, and it is highly possible that the iron bells were not very popular from this time. Meanwhile, as a result of reviewing burial aspects, such as burial facilities, buried position, traces of organic matter, and fishing net weights, it is possible to suggest that interpretations of the deceased’s nature and gender (vaguely estimated as chief priest or woman) should be carefully considered. In addition, a examination of artifacts found in association with the bells indicates that some of the iron bells may have functioned as ritual tools or cowbells. Owing to the influence of the Korean Peninsula, iron bells also appear in the Japanese Archipelago. Within the Japanese Archipelago, Kyushu appears to have aimed to actively accept the culture from the peninsula, including the iron bells, which demonstrates that Silla also attempted to continuously negotiate with Japan, just like Baekje and Daegaya.

목차

Ⅰ. 머리말
Ⅱ. 연구사 검토 및 문제 제기
Ⅲ. 삼국시대 철탁의 분석
Ⅳ. 철탁의 용도와 소유자의 성격
Ⅴ. 철탁의 의미
Ⅵ. 일본 고분시대의 철탁과 한일교섭
Ⅶ.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도영(Kim, Doyoung). (2019).삼국시대 철탁의 성격과 의미. 한국고고학보, 113 , 190-229

MLA

김도영(Kim, Doyoung). "삼국시대 철탁의 성격과 의미." 한국고고학보, 113.(2019): 190-22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