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상담 및 심리 분야의 중년연구 동향 분석

이용수 180

영문명
Trends Analysis of Researches on Middle age in Counseling and Psychology
발행기관
한국재활심리학회
저자명
최희주(Choi, Heeju) 김영근(Kim, Youngkeun)
간행물 정보
『재활심리연구』제24권 제3호, 519~539쪽, 전체 2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심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7.09.30
5,3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최근 15년 간 국내 상담 및 심리 분야에서 이루어진 중년연구 동향을 살펴봄으로써 그간의 연구 성과를 개관하여 정리하고 앞으로의 연구를 위한 방향성을 제안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분석 대상은 국내 상담 및 심리 관련 학술지에 게재된 중년에 관한 논문 83편이었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대상별 동향은 중년여성 연구가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는 중년남녀를 다룬 연구, 중년남성 연구, 다른 세대와의 비교 연구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연구방법별 동향은 양적 연구가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으로 질적 연구, 혼합 연구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주제별 동향은 개인 내적 변인을 중심으로 한 연구가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으로 상담 및 프로그램 연구, 가족관계변인 연구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중년연구가 보다 다양한 접근 방식으로 활성화 되어야하고 연구대상, 주제 및 방법 등이 보다 다양해져야 함을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zed current trends in counseling and psychology studies in an effort to propose new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83 studies, from the last 15 years, specific to middle aged individuals in major academic journals, were analyzed.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middle-aged women comprised majority of participants, followed by middle-aged men and women, and middle-aged men, respectively. Second, methodologically, majority were quantitative, followed by qualitative and then a combination of the two. Third, topics were primarily related to individual characteristic variables, followed by counseling and counseling programs, and interpersonal variables in family, respectively. Based on the results, ideas for new research specific to middle aged individuals are discussed.

목차

방법
결과
논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최희주(Choi, Heeju),김영근(Kim, Youngkeun). (2017).상담 및 심리 분야의 중년연구 동향 분석. 재활심리연구, 24 (3), 519-539

MLA

최희주(Choi, Heeju),김영근(Kim, Youngkeun). "상담 및 심리 분야의 중년연구 동향 분석." 재활심리연구, 24.3(2017): 519-53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